한국일보

이민단속·시위에 한인사회 ‘비상’

2025-06-13 (금) 12:00:00
크게 작게

▶ “한인 상권도 단속 타깃”
▶ 이민단체 상담 2∼3배 ↑

▶ 직원 못 구해 폐업 사례도
▶ 한인들 신분변경 미루기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체류 이민자 단속·추방 강도를 높이면서 그 여파가 미국 내 한인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한인 시민단체들이 전했다. 한인 권리옹호 시민단체들의 연합인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미교협)와 지역 가입단체는 12일 온라인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단속에 따른 한인사회 분위기를 설명했다.

최근 LA에서 벌어진 연방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단속에 대한 반대 시위를 진압하고자 트럼프 행정부가 일방적으로 주 방위군을 투입하는 사태가 발생한 이후 이민자 단속과 관련한 한인사회의 피해와 불안감은 더욱 커진 상황이다. 김정우 미교협 공동 사무국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LA에 주 방위군을 배치한 이후 한인 마트에서 일하는 이민자들이 단속 두려움에 출근을 하지 않아 피해를 보고 있다는 연락을 많이 받고 있다”며 “이런 상황은 단순히 LA에 국한된 게 아니고, 한인이 밀집된 다른 대도시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동부 지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시 교외의 한 한인 마트의 경우 최근 ICE 요원들이 들이닥쳐 이민자 2명을 체포해가기도 했다. 체포 대상이 한인은 아니었지만, 이민당국이 그동안 한인 상권에 대해선 집중적인 단속대상으로 삼지 않아 왔다는 점에서 지역 한인사회에 불안감을 키웠다. 펜실베니아주 우리센터의 제이 이 오거나이징 디렉터는 “한인 상권은 그동안 이민당국의 단속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고 한인 사업주들도 경각심이 크지 않았는데 이제는 직접적인 타깃이 되고 있다”라고 전했다.


미 동부에서 가장 많은 한인이 거주하는 뉴욕·뉴저지 지역도 라틴계 이민자 고용을 많이 해온 동포 소상공인의 직·간접적인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김갑송 민권센터 국장은 “뉴저지주에서 가게를 운영 중이던 지인분이 최근 가게 문을 닫았는데, 일할 사람을 구할 수 없어서 할 수 없이 문을 닫았다고 한다”라고 전했다. 시카고 하나센터의 최현주 커뮤니케이션 담당은 “시카고 시내뿐만 아니라 교외 지역까지 이민당국이 들이닥쳐 사업체 내 불심 검문을 시작했다고 한다”며 “서류미비자들의 경우 날마다 쏟아지는 이민자 단속 뉴스로 공포심에 휩싸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영운 미교협 조직국장은 “미교협에서 단속대응 핫라인을 운영하는데 지난주 들어 평소의 2∼3배에 달하는 상담 전화가 걸려 오고 있다”며 “대부분 최근 LA 사태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면서 단속 시 대응법과 권리에 관해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체류 신분 변경을 진행 중인 한인들도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이민정책 탓에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다. LA 민족학교의 주디 최 매니저는 “시민권을 신청할 자격이 충분히 되는데도 반이민 정책 때문에 위축돼 신청을 미루는 분들이 많다”라고 말했다.

한인 단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핵심 법안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이민자 단속 예산이 대폭 증액 배정됐다는 점을 언급하며, 법안 통과시 단속 강도가 전국적으로 확대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