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중국,‘탈미’ 전선 확대… 유럽 투자·공급망 재편 속도

2025-05-22 (목) 12:00:00
크게 작게

▶ 지난해 유럽에 100억 유로 투자
▶ 헝가리 등 전기차·배터리 집중

▶ 수출기업 미 의존도 낮추기 총력
▶ G7은‘ 알·테·쉬 관세’로 중 견제

중국이 글로벌 영향력을 넓히며 ‘탈미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수출국 다변화 및 해외 현지 투자에 적극 나서는 가운데 중국 정부도 유럽과의 협력 관계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이런 가운데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은 소액 소포에 대한 관세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등 대중국 견제 수위는 갈수록 높아지는 양상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대유럽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전년보다 47% 늘어난 100억 유로를 기록했다. 과거 기업 인수합병(M&A)에 집중됐던 흐름이 최근에는 내수 경제 둔화, 관세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로 바뀌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기업들은 영국·독일·프랑스 등 미국의 동맹국에는 투자를 꺼리고 있지만 헝가리 등 동유럽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CATL은 헝가리 데브레첸에 75억 유로를 들여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으며 비야디(BYD)도 세게드에 전기차 생산 시설과 연구개발(R&D) 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다. 헝가리는 지난해 전체 중국의 유럽 투자 중 31%를 유치하며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중국 기업들도 수출 시장 다변화 전략을 구사하며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있다. 알리안츠트레이드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수출 업체 4500곳 중 95%가 “미국 외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하거나 이미 확대 중”이라고 답했다. 보고서는 “관세 유예에도 미국의 중국산 제품 평균 관세율은 여전히 39%로, 트럼프 2기 이전보다 3배 가까이 높다”고 지적했다.


G7 등 서방국가들은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을 견제하고 나섰다. 20일 캐나다 밴프에서 열린 G7 재무장관회의에서는 테무·쉬인·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계 초저가 플랫폼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으로 관세 부과 조치 등이 논의됐다. 이날 EU는 중국발 저가 소포에 건당 2유로의 수수료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관련 조치가 국제사회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같은 날 연방 상무부는 중국산 배터리 핵심 부품에 대한 상계관세 부과를 발표하며 대중 압박 수위를 높였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조사결과 배터리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후저우 카이진과 파나소닉 글로벌 중국 법인 등 중국 업체들이 최대 721%에 달하는 보조금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후저우 카이진은 중국 최대의 인조흑연 제조업체다. 흑연은 배터리에서 리튬 이온을 장착·저장하는 음극재 소재로 사용된다. 이날 예비 결정에 따라 향후 미국 정부는 후저우 카이진 등 중국 배터리 부품업체에 대해 상계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모든 교역국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광범위한 관세 정책과는 별도로 미국의 흑연 생산업체들의 청원에 따라 시작됐다. 미국 업체들은 중국의 대규모 국가 보조금이 배터리 핵심 부품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춰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상계관세는 중국의 보조금 지원을 상쇄하기 위한 조치로 덤핑 혐의에 대한 조사는 별도로 진행 중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