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중동 순방 첫날
▶ 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
▶ 총 6천억 달러 규모 달해
▶ 미 군사장비 대거 구입 등

사우디를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부터)이 13일 가진 AI 투자 포럼에서 환담하고 있다. [로이터]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13일 6,000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 사우디의 대미 투자와 미국의 대 사우디 수출, 안보 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6일까지 나흘간 사우디에 이어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를 잇달아 방문길에 나섰다. 1월 대통령 취임 뒤 첫 해외 공식 순방 일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도 사우디를 첫 해외 방문국으로 선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순방 첫날인 이날 사우디의 수도 리야드에서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한 뒤 에너지, 국방, 자원 등 분야 합의가 담긴 이 협정에 서명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이같은 백악관의 발표 이후 이뤄진 사우디 리야드 현지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방문으로 우리는 1조 달러가 넘는 추가 투자와 자국 제품 구매를 이끌어내고 있다”며 “우리의 훌륭한 사우디 파트너들이 미국산 군사 장비를 1,420억 달러 규모로 구매했는데, 이는 지금까지 최대 규모”라고 성과를 강조했다.
백악관은 관련 보도자료에서 미국 12개 방산기업이 사우디와 1,420억 달러에 달하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방위 장비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소개했다. 이 계약에는 공군 발전 및 우주 능력, 대공 및 미사일 방어, 해상 및 해안 안보, 국경 안보 및 지상군 현대화, 정보통신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과 관련된 장비 등이 포함돼 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또 미국은 사우디 군대의 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을 지원하기로 했다.
민간 분야에서는 사우디 기업 데이터볼트가 미국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를 추진한다. 데이터볼트는 또 미국 기업 구글, 오라클, 우버 등과 함께 양국 최첨단 기술에 8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이와 함께 미국 기업들이 사우디 킹살만 국제공항 등 인프라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미국의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20억 달러의 수출이 이뤄질 것이라고 백악관은 덧붙였다 아울러 GE의 가스터빈이나 보잉 상의 여객기 수출, 항공우주분야 펀드, 글로벌 스포츠 펀드 등 수출과 금융 부문 협력도 이번 협정에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대규모 투자와 일자리를 확보했다며 사우디를 향해 “우리는 당신의 위대한 조국에 계속해서 매우 잘 봉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공지능(AI)을 엔진 삼아 ‘탈 석유’를 추진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는 2기 출범 후 첫 해외 순방지로 중동을 찾은 트럼프 대통령을 AI 산업의 핵심 파트너로 삼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에 맞춰 AI 관련 투자사를 설립하고 미국 빅테크(거대기술기업) 수장들을 대거 초청해 투자 포럼을 여는 등 ‘AI 이니셔티브’를 잡으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각으로 13일 오전 9시50분께 킹칼리드국제공항에 도착해 사우디의 실질적 통치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영접을 받으며 투자 포럼 행사장으로 이동했다. 이 포럼에는 퀄컴과 블랙록 등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후 이어진 트럼프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의 오찬 자리에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비롯해 오픈AI의 샘 올트먼, 아마존의 앤디 재시, IBM의 아르빈드 크리슈나 등 미국 빅테크 수장들이 총출동했다.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문에 미국 테크 업계가 대거 동행한 이유가 빈 살만 왕세자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짚었다. 사우디를 ‘석유 왕국’에서 ‘AI 왕국’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야심찬 구상을 여러 차례 밝힌 빈 살만 왕세자가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을 미국 빅테크와의 협력을 이끌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빅테크는 ‘오일머니’로 자금을 조달하고 사우디는 미국 AI 기술을 지렛대로 경제구조를 석유 의존형에서 AI 중심으로 바꿀 수 있어서다.
때맞춰 전날 사우디는 AI 전문 투자사인 휴메인(Humain)을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자산 규모가 9,250억 달러인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휴메인을 소유하는 구조로, 빈 살만 왕세자가 의장을 맡아 투자를 진두지휘한다. 사우디 국영 통신사 SPA는 데이터센터·클라우드 같은 AI 인프라와 아랍어로 된 대규모언어모델(LLM) 등이 휴메인의 투자 대상이라면서 “(휴메인은) 사우디의 AI 허브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