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트코프 “이란, 핵무기 원치 않는다고 말해…JCPOA식 합의 없을 것”

위트코프 특사[로이터]
미국과 이란이 11일(현지시간) 오만에서 이란 핵문제에 대한 4차 협상을 진행한다고 이란 외교부가 9일 공식 확인했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교부 장관은 오만이 시간과 장소를 제안했으며 이란과 미국이 이에 동의했다고 밝혔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그는 이란 언론에 방영된 영상에서 "협상은 앞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우리가 더 많이 협의하고 진전할수록 대표단이 이슈를 검토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라면서 "중요한 것은 점차 세부 사항으로 들어가기 위해 전진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협상에 이란 측은 아락치 장관이, 미국 측에서는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가 대표로 참석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인 2018년 오바마 정부 때 타결된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파기했다.
지난 1월 재집권한 트럼프 대통령은 3월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에게 서한을 보내 2개월의 시한을 제시하면서 핵 협상을 제안했다.
그는 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무력 사용도 불사하겠다고 위협하면서 이란에 대한 이른바 '최대 압박' 정책을 재개했다.
미국과 이란은 이후 지난달 26일까지 3차례에 걸쳐 고위급 핵협상을 진행했으며 양측 모두 일단 진전은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 핵 프로그램의 완전 폐기를 목표로 제시했으며 이란은 민간 차원의 평화적 핵 이용은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정부는 특히 우라늄 농축에 대해서는 민간 용도로도 허용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민간 차원의 핵 프로그램에 필요한 농축 우라늄에 대해서도 '자체 농축'이 아니라 수입해서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트코프 특사도 이날 인터넷 매체 브레이트바트와 인터뷰에서 "이란이 (민간 핵) 프로그램을 확장하고 싶으면 그럴 수 있다"라면서 "그러나 이란 내에 절대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은 있을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우리의 레드라인"이라면서 "이것은 이란에 있는 3곳의 농축 시설이 해체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농축 프로그램의 전면 폐기를 강제하지 않는 JCPOA 같은 합의의 도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번 협상에서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란은 핵무기를 가질 수 없으며, 그들은 핵무기를 원치 않는다고 말해왔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란은 원전 원료의 생산 능력은 핵확산금지조약(NPT) 서명국의 권리라면서 맞서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4차 협상 직후인 13∼16일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를 순방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