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조기대선 재외선거 등록률 결국 ‘저조’

2025-04-28 (월) 12:00:00 노세희 기자
크게 작게

▶ 전 세계 26만4천… LA총영사관 1만535명

▶ 9대 비해 12%↓… 총 유권자의 9% 수준
▶ “재외동포 손발 묶는 선거법 바뀌어야”

조기대선 재외선거 등록률 결국 ‘저조’

21대 대선 재외유권자 등록 마감 하루전인 지난 23일 LA 총영사관에서 한 한인 유권자가 등록 접수를 하고 있다. [박상혁 기자]

오는 6월3일 조기대선으로 치러질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재외선거 유권자 등록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4일 마감된 재외선거 신고·신청자 수를 26만4,251명으로 잠정 집계했다. 국외부재자는 23만2,987명, 재외선거인은 3만1,264명이다. 이는 20대 대선(23만1,560명) 대비 14.1% 증가했지만, 19대 대선(30만197명)보다는 12.0% 감소한 수치다. 대륙별로는 아시아 13만1,474명, 미주 7만7,938명, 유럽 4만4,708명, 중동 7,155명, 아프리카 2,901명 순이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5만3,377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3만9,712명), 중국(2만5,466명)이 뒤를 이었다.

남가주와 네바다, 애리조나, 뉴멕시코를 포함하는 LA 총영사관 관할 지역에서는 국외부재자 7,934명, 재외선거인 471명이 신규 등록해 총 8,405명이 새로 유권자 명단에 올랐다. 영구명부 2,130명을 합하면 이번 대선 투표 가능 인원은 1만535명이다.
조기대선 재외선거 등록률 결국 ‘저조’

LA 총영사관 지역 등록자 수는 20대 대선과 비슷하나, 19대 대선(1만4,205명) 대비 25.8%(3,670명) 감소했다. 19대 대선 당시 등록자 수는 역대 최고였으며, 20대 대선은 1만780명이었다. 전 세계 732만 명의 재외동포 중 295만 명이 선거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번 21대 대선 등록률은 유권자 대비 9.0%에 그쳤다.


남가주를 비롯한 해외 한인사회는 저조한 등록률의 이유로 ‘재외국민에 대한 선거운동 제한’과 ‘투표소 방문 방식의 한계’를 지적한다. 재외국민은 투표권은 있으나, 선거운동이나 지지 활동은 금지돼 있다. 또한 182개 공관 등 220여 곳에서만 투표할 수 있어 접근성에 어려움이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 단체장은 “재외선거 기간 동안 특정 후보를 마음 놓고 지지할 수 없는 데다 투표소에서만 투표가 가능해 현실적으로 재외선거는 ‘불가능한 선택’”이라며 “재외동포의 손발을 묶어놓고 있는 선거법은 바뀌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힘 재외동포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석기 의원(국회 외교통일위원장)도 재외동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투표하기 어렵게 돼 있는 선거제도와 홍보 부족의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그동안 우편투표 도입, 인터넷투표 도입을 골자로 하는 법 개정안이 다수 제출돼 왔지만,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며 “200만 재외유권자 중 170만명이 포기하는 재외선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법안 발의에 그치지 말고 여야가 진정어린 마음으로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LA 총영사관 재외선거관리위원회는 오는 5월 2일 2차 회의를 열고 추가 투표소 3곳을 결정할 예정이다.

<노세희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