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트럼프 “중국과 대화 중 3~4주 내 협상 타결”

2025-04-19 (토) 12:00:00 이서희 기자
크게 작게

▶ 보복 대신 ‘국면 전환’ 기대감

▶ 중 선박에 ‘입항료 부과’ 압박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 중국과 관세 문제를 놓고 대화 중이라며 한 달 내 협상 타결을 낙관했다.

추가적인 보복 관세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 경쟁하듯 관세를 인상하던 극한 대립을 마무리 짓고, 협상 국면으로 전환 기대감을 내보인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중국산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조치 등 중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새로운 압박 조치도 내놨다.

▲ "고율 관세에 대한 트럼프 의욕 꺾여"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 나온 트럼프 대통령은 취재진에게 "우리는 중국과 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9일 중국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한 뒤에도 중국 측과 대화를 하고 있는 것이냐'는 질의에도 "물론"이라고 답했다.

협상 타결 시점에 대해서는 "앞으로 3, 4주 정도로 생각한다"며 조기 협상 기대감도 드러냈다. "중국은 봐주지 않을 것"이라며 윽박지르기만 하던 그간 태도와는 달랐다. '시진핑 국가주석과 직접 대화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는 "그것(직접 대화 여부)에 대해서는 말한 적이 없고, (언급도) 부적절하다"며 "그건 중요하지 않다"고 즉답을 피했다.

'관세 화력'도 당장 더 키우지는 않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중국이 관세를 더 올릴 경우 중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는 "그들이 더 올리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어느 지점에 도달하면 사람들이 더는 (물건을) 사지 않게 되기 때문"이라며 "그래서 나는 (설사 중국이 관세를 인상하더라도) 더 올리고 싶어 하지 않을 수도 있고, 오히려 낮추고 싶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2일 발표한 전면적인 상호관세 부과 계획에 시장이 격하게 반응한 것을 계기로 고율 관세에 대한 트럼프의 의욕이 꺾였음을 드러내는 발언"이라고 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중이 관세 협상을 위해 접촉한 것은 사실이나 본궤도에 올랐다고 볼 만한 고위급 협상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4주 내 협상을 타결할 수 있다'는 트럼프의 발언은 근거 있는 전망이라기보다는 국면 전환 의지 발신에 가까워 보인다.

미중 갈등 여파에 주식·통화·채권이 일제히 하락하며 자국 금융시장이 위태로워지자, 불안감이 커진 트럼프가 대화를 서두르고 있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상무부도 지난 16일 “미국 측의 의미 없는 관세 숫자 놀음에 대응하지 않겠다”며 추가적인 보복성 관세 인상은 없을 것이라 밝혔다.

▲ “보복성 관세 인상은 더 없을 듯”

중국을 향한 공세를 중단한 것은 아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저사양 인공지능(AI) 칩도 중국 수출을 금지하기로 한 데 이어, 이날에는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해운사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표면적으로는 글로벌 해운 시장에서 중국에 한참 뒤처진 미국 해운업을 부흥시키기 위한 조치지만, 차후 미중 간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협상 카드를 최대한 확보해두려는 속셈으로도 해석된다.

미국은 우방국들과의 협상도 서두르고 있다. 중국과 협상이 길어질 것에 대비해 ‘먼저 내놓을’ 가시적 성과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서희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