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C 인종별 상세보고서
▶ 아태계 26명 당 1명 꼴
▶ 전체는 31명중 1명 진단
▶ 남아가 여아보다 3.4배
▶ 범위확대·인식향상 영향
미국 아동들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인을 포함한 아시아계 아동의 자폐 진단율이 타인종 아동에 비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8세 아동 31명 중 1명이 자폐 진단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2000년 당시 150명 중 1명이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눈에 띄는 증가세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16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8세 아동 31명 중 1명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0년 발표 당시 150명 중 1명이 자폐 진단을 받았던 것과 비교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는 수치이며, 2020년 발표된 36명 중 1명이라는 통계와 비교해도 더욱 높아진 결과다. 전문가들은 자폐 진단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 향상, 검사 및 서비스 접근성 개선, 자폐 스펙트럼 범위 확장 등을 지목했다. 예를 들어 2013년 아스퍼거 증후군 등 유사 질환들이 자폐 범주에 통합되면서, 과거에 자폐로 진단되지 않았던 사례들도 현재는 스펙트럼에 포함돼 진단율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이번 보고서는 인종 및 민족 간의 격차도 포함됐는데 한인을 포함한 아시아계 아동의 자폐 진단율이 타인종 아동에 비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줬다. 인종별로 보면 아시아·태평양계 아동의 자폐 진단율은 1,000명당 38.2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26명 당 1명 꼴이다. 인디언·알래스카 원주민 37.5명, 흑인 36.6명, 히스패닉 33명, 혼혈 아동은 31.9명 마지막으로 백인은 27.7명으로 가장 낮은 진단율을 보였다. 성별로 따져 보았을 때는 남아 1,000명당 49.2명, 여아는 1,000명당 14.3명으로 남아에게서 약 3.4배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
CDC는 다만 이번 연구는 미국 14개 주 및 푸에르토리코 내 16개 대학 및 기관에서 수집한 자료를 기반으로 해 미국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CDC 인간발달장애국 책임자 캐럴 래터이 박사는 “16개 조사 지역에서 진단율이 큰 차이를 보였다”며 “텍사스 라레도에서는 103명 중 1명, 캘리포니아에서는 19명 중 1명으로, 이는 조기 진단과 평가 서비스의 접근성 차이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케네디 장관이 자폐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발표돼 주목을 끌고 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은 16일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자폐를 포함한 소아 만성질환 유행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라는 과제를 맡았다”며 “세계 최고 과학자들로 연구팀을 구성해 9월부터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케네디 장관은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9월까지 자폐 유행의 원인을 밝히고 원인 노출을 제거하겠다”고 밝혔으나, 워싱턴포스트는 “자폐 관련 연구는 9월에 시작될 예정일 뿐, 그때까지 결론을 내리겠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보도했다.
한미특수교육센터(KASEC)의 로사 장 소장은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원인이 단일하지 않은 매우 복합적인 특성을 지닌 장애”라며 “원인을 찾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점점 늘어나고 있는 자폐인들과 이 사회가 어떻게 공존하고 살아갈지를 연구하는 것이 더 시급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4월이 ‘자폐 수용의 달(Autism Acceptance Month)’인 만큼, 이번 보고서를 계기로 지역사회가 자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수용과 포용의 문화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미특수교육센터(KASEC)는 9월 30일까지 한인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 무료 발달선별검사를 실시한다. 온라인 또는 LA 오피스에서 참여 가능하며, 선착순 100명에게 10달러 기프트 카드가 제공된다. 또한 검사 결과 발달 지연 시 후속 지원도 제공된다.
<
황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