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휴전안’ 러 즉답 않고 시간 벌기
2025-03-12 (수) 11:00:10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30일 휴전안'을 넘겨받은 러시아에선 즉답이 나오지 않았다. 말을 아끼면서 역제안을 위한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11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연 고위급 회담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30일간 휴전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공은 러시아 쪽으로 넘어갔다"며 러시아의 답을 요구했다.
이 휴전안으로 우크라이나 사태가 해결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지만 러시아의 반응은 미지근하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미국 측에게 이번 회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기 전에는 반응을 내놓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요즘 미국인들과 접촉을 예정하고 있으며 완전한 정보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러시아도 미국과 대화 채널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일단 러시아는 30일 휴전에 관한 세부 사항을 파악하겠다며 시간을 번 셈이다. 그간 러시아는 일시적 휴전은 우크라이나에 재무장·재정비할 틈을 줄 뿐이라며 부정적이었다.
러시아가 자국과 대화를 재개한 트럼프 미 정부를 높이 평가해온 만큼 휴전안을 전격 수용하며 통 크게 화답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푸틴 대통령이 희토류를 미국과 공동으로 개발할 준비가 됐다고 직접 언급하는 등 러시아가 미국과 경제 분야에서 협력할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30일 휴전안을 경제 분야 협상의 지렛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