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주택시장 슈링크플레이션…집 작아지는데 분양가 껑충

2024-11-21 (목) 준 최 객원 기자
크게 작게

▶ 리빙룸 등 불필요한 공간 줄이고 실용 공간 집중

▶ 주택 건설용 부지 가격 급등이 분양가 상승 원인

주택시장 슈링크플레이션…집 작아지는데 분양가 껑충

최근 2년 사이 주택 면적이 다시 작아지는 트렌드가 나타났다. 주택 신축 시 실용적인 공간에 집중하고 불필요한 공간을 없앤 것이 원인이다. [로이터]

주택시장 슈링크플레이션…집 작아지는데 분양가 껑충

주택 크기는 작아진 반면 신규 주택 분양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 주택 건설용 부지 가격이 급등이 분양가 상승 요인으로 지목된다. [로이터]


소매업계에서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행위가 논란이다. 슈링크플레이션은‘줄어들다’라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패키지 다운사이징’(Packaging Downsizing)이라고도 한다. 가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의 용량을 줄여 사실상 가격 인상 효과를 유도하는 일종의 꼼수 마케팅 전략이다. 이 같은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이 주택 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주택 건설 업계의 의도로 볼 수 없지만, 지난 10년간 신규 주택의 크기는 작아진 반면, 분양가는 오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소비자 금융 정보 서비스 업체 뱅크레잇닷컴이 주택 시장에 나타난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에 대해 알아봤다.

◇ 최근 2년 사이 다시 작아져

주택 건설 붐이 일었던 1960년대 이후 주택 크기는 지속적으로 커졌다. 센서스국 통계에 따르면 1960년 단독 주택의 중간 크기는 약 1,500 평방 피트로 비교적 소박한 편이었다. 이후 주택 보유 세대가 베이비부머, X세대로 바뀌면서 ‘큰 집이 좋다’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 주택 크기는 점점 커지기 시작해 2000년대 초반 2,200평방피트에서 2020년대 초반 2,300평방피트까지 확대됐다.


그런데 불과 최근 몇 년 사이 주택 크기는 다시 작아지고 가격은 오르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센서스구의 자료에 따르면 1960년대 이후 2020년대 초반까지 단독 주택 중간 면적은 약 800평방피트나 증가했다. 2021년까지만 해도 약 2,303평방피트로 사상 최대 면적으로 기록했던 단독 주택 크기는 불과 2년 뒤인 2023년 2,177평방피트로 약 126평방피트 축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 불필요 공간 줄이고 실용 공간 집중

그렇다면 신규 주택 구입자들은 앞으로 전보다 공간이 작아진 집을 더 비싼 가격에 구입해야 하는 것일까? 주택 시장 전문가들에 따르면 반드시 그렇지 않다. 제프 오스트로프스키 뱅크레잇닷컴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지어진 신규 주택 설계가 과거 주택에 비해 달라진 것이 원인이다.

예를 들면 포멀 다이닝 룸이나 리빙룸 등 사용이 적은 공간을 줄이고 실용적인 공간에 집중한 주택 설계가 신규 주택 시장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오스트로프스키 연구원은 “지난 몇 년간 주택 건설 업체들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한 실용적 주택 설계에 주력하고 있다”라며 “최근 지어지는 주택이 과거 주택보다 100~200평방피트 작지만,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장점이 더 많다”라고 설명했다.

◇ 토지가 급등에 분양가 상승

주택 면적은 작아졌지만 반대로 주택 가격은 오르고 있어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에 비유된다. 올해 6월 재판매 주택 중간 가격은 42만 6,900달러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주택 가격은 9월 소폭 하락했지만, 9월 기준으로는 여전히 사상 최고가를 유지했다. 주택 면적 축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경제 기본 원칙인 수요와 공급 때문이다. 주택 공급이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주택 시장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 외에도 지역적인 요인도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택 가격을 구성하는 요인은 크게 건물과 부지다. 그동안 건축 자재비, 인건비 등 건물 비용도 끊임없이 오른 반면 건물을 지을 부지 가격이 급등해 주택 면적은 작아지고 가격은 오르는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게 됐다는 분석이다. 주택 건설비는 전국적으로 큰 차이가 없으나 실리콘 밸리, 시애틀, 보스턴 등 토지 가격이 비싼 지역일수록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 2천~3천 SF 가장 선호

주택을 구입할 때 크기를 잘 고려해야 한다. 조사에 따르면 집을 산 뒤 크기가 만족스럽지 않아 후회하는 바이어가 적지 않다. 뱅크레잇닷컴의 2024년 설문 조사에서 바이어 중 약 47%가 주택 구입에 따른 한 가지 이상의 후회를 들었다. 이중 주택 크기와 관련된 후회는 약 28%로 18%는 작은 집을 구입해서, 나머지 10%는 너무 큰 집을 구입한 것이 후회된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바이어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택 면적은 얼마나 될까? ‘전국주택건설업협회’(NAHB)가 올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바이어들은 1,600~2,999평방피트 대 주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바이어 중 2,000~2,999평방피트짜리 주택을 원하는 바이어가 38%로 가장 많았고, 1,600~1,999평방피트 크기를 선호하는 바이어가 21%로 뒤를 이었다. 4,000평방피트가 넘는 저택을 사고 싶다는 바이어는 6%로 드물었다.

◇ 큰 집 장단점 고려해 결정해야

주택 면적을 정할 때 미래 계획 등을 고려해야 하지만 큰 집과 작은 집의 장단점도 알고 있어야 한다. 큰 집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좁은 생활 공간에 대한 답답함을 느낄 필요가 없다. 업무를 위한 홈 오피스, 아이들을 위한 놀이방, 손님 방문을 위한 게스트룸 등 목적에 맞게 특정 공간을 지정할 수 있다. ▶자녀 출산으로 가족 수가 늘거나 부모나 친척을 돌봐야 하는 경우 큰 집을 구입할 필요 없이 적절한 공간을 활용하면 된다. ▶집의 구조에 따라 임대를 통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별채’(ADU) 건축이 가능한 경우 주택 비용에 필요한 임대 수익을 마련할 수 있다.

반면 큰 집 구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단점도 있다. ▶ 높은 유틸리티 비용이 가장 큰 단점이다. ▶ 높은 관리 및 유지 비용도 감수해야 한다. 조경과 정원 관리, 페인트 비용, 가구 비용 등이 많이 발생한다. ▶면적이 클수록 가치가 높게 평가돼 높은 재산세와 보험료가 부과된다.

<준 최 객원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