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송금 정보 변경됐습니다”…부동산 사기 주의보

2024-07-11 (목) 준 최 객원 기자
크게 작게

▶ 소셜미디어 이용해 범죄 물색 다반사

▶ 전화로 개인·재정 정보 요구하지 않아

“송금 정보 변경됐습니다”…부동산 사기 주의보

부동산 관련 사기가 끊이지 않아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거래 마감을 앞두고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계 없음. [준 최 객원기자]

“송금 정보 변경됐습니다”…부동산 사기 주의보

소셜미디어에서 개인정보를 빼내 부동산 사기에 사용하는 수법이 성행한다. 소셜미디어에 무분별한 개인정보 노출을 주의해야 한다. [로이터]


해마다 주택 거래가 증가하는 여름철이면 함께 증가하는 것이 있다. 바로 부동산 관련 각종 사기다. 부동산 관련 사기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 추세로 최근에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묘한 수법이 판을 치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높은 주의가 요구된다. 최신 부동산 사기 유형과 주의 요령, 피해 시 대처 방법 등을 알아본다.

◇ 작년 피해 규모 1억 4,500만 달러

사기는 남녀노소,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인종을 가리지 않을 정도로 공평(?)하다. 부동산 사기는 더더욱 그렇다. 웬만한 부동산 거래액이 수십만 달러를 넘고 누구나 평생 한 번쯤 부동산 거래에 나서기 때문이다. ‘연방수사국’(FBI)에 따르면 지난해 인터넷 관련 부동산 불만 신고가 9,500건 넘게 접수됐는데 피해액은 무려 1억 4,500만 달러에 달한다. 안타깝게도 피해액 대부분은 보상이 힘든 피해다.


부동산을 사고팔 때 믿을만한 전문인을 만나는 일이 쉽지 않다. 일반인에게는 부동산 거래가 자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경험을 쌓기 힘들고 쌓은 경험도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지거나 끊임없이 변하는 부동산 시장 트렌드로 인해 무용지물이 될 때가 많다. 따라서 항상 주의하고 조금이라도 의심이 가는 거래는 나서지 않는 것이 좋다.

◇ 소셜미디어는 범죄자 낚시터

조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이 사기 피해자로 전락하기 쉽다. 이혼, 실직, 발병, 또는 지역의 정치적 이슈 등에 의해 급하게 주택 매매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힘든 상황이나 도움 요청을 소셜미디어에 올리면 사기 범죄자의 레이더망에 걸리고 만다.

사기 범죄자들은 소셜미디어를 낚시터 삼아 먹잇감을 물색하기 때문이다. 이들 범죄 집단은 처음에는 도움을 줄 것처럼 접근하지만 결국 자신의 이익만 챙겨 사라진다. 소셜미디어 사용을 자제하기 쉽지 않지만 무분별한 개인 정보 노출을 삼가는 것이 부동산 사기 피해를 차단하는 길이다.

◇ 전화로 정보 요구하는 경우 없어

보이스피싱이 극성이다. 최근에는 시도 때도 없이 걸려 오는 로보콜 때문에 일상 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다. 전화 한 통화를 잘못 받아 거액의 부동산 사기 피해에 연루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부동산 사기 집단으로부터 전화를 받는 이유는 다양하다. 무작위로 걸려 온 전화일 수도 있고 모기지 연체 기록을 보고 노골적으로 접근하는 전화일 수도 있다.

범죄 대상자가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상황을 파악하고 낮은 이자율로 재융자를 해주겠다거나 현찰로 주택을 구입하겠다며 접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의할 것은 합법적인 재융자 업체나 부동산 투자 업체는 전화로 고객에게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무리 긴박한 상황에 처했어도 전화로 개인 정보나 재정 정보를 요구하는 업체가 있다면 당장 끊고 번호를 차단해야 한다.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넘겨진 정보는 회수가 불가능하다. 아무리 합법적인 업체라는 판단이 서도 대면 미팅을 잡고 그사이에 해당 업체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는 것이 안전하다.

◇ 거래 마감 시 각별히 주의

부동산 사기가 극성을 부리는 시기는 거래 마감을 앞두고 있을 때다. 이 시기는 부동산 거래 당사자 모두가 흥분과 긴장, 스트레스가 고조하는 시기로 사기에 매우 취약하다. 바이어는 거액의 거래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 자금을 정리하는 시기다. 이 시기에 일부 바이어는 거래 대금 마련을 위해 주식이나 채권을 매매하기도 한다. 이처럼 정신없는 틈을 타 사기 범죄자로부터 이메일 한 통을 받기 쉽다.

송금 정보가 변경됐으니 변경된 정보에 따라 돈을 보내라는 것이 이메일 내용이다. 얼핏 보면 이메일을 발신자는 그동안 거래를 담당한 에스크로나 타이틀 업체처럼 보이지만 업체와 유사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웹사이트 등이 범죄에 사용되기 때문에 감쪽같이 속아 넘어가는 피해자가 많다. 비영리 크레딧 상담 기관 ‘크레딧’(Credit.org)에 따르면 대개 전화번호 중 한자리 또는 실제 업체명에서 한 글자만 바뀐 허위 연락처로 바이어들을 유인한다.

주택 구입 잔금을 송금하기 전에 기존 에스크로 서류 등에 기재된 연락처로 연락해 송금 관련 정보를 거듭 확인해야 한다. 송금을 앞두고 갑자기 송금 정보가 변경됐다는 연락도 주의해야 한다. 이 같은 연락을 받았다면 기존에 연락했던 에스크로 업체 직원과 사실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 집 보려면 정보부터 제출

매물이 턱없이 부족하다 보니 매물을 찾는 바이어의 절실함 노린 사기도 극성이다. 대부분 바이어의 개인 정보를 빼내 신분 도용 범죄에 활용하려는 범죄다. 매물을 찾기 힘든 점을 틈타 매물을 보려면 개인 정보부터 보내라는 것이 이들의 전형적인 수법이다. 소셜 시큐리티 번호, 크레딧카드 번호, 생년월일 등 매우 민감한 개인 정보를 먼저 제공해야 집을 볼 수 있다고 나온다면 바로 사기라는 것을 직감해야 한다.

임대 매물이든 매매용 매물이든 집을 보여주면서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만약 직접 가서 매물을 보기 힘든 상황이거나 사기가 의심된다면 에이전트가 실시간 동영상을 활용하는 ‘온라인 투어’(Online Tour)를 요청하거나 담당 에이전트를 대신 보내 매물을 확인할 수 있는지 문의한다.

◇ 에이전트도 안심 못 해

부동산 전문인을 대상으로도 버젓이 사기 행각을 벌이는 사례가 많다. 가주 부동산국에 따르면 부동산국 수사 직원을 사칭한 범죄자들이 부동산 에이전트에게 무작위로 접근해 송금을 요구한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주로 보이스 피싱 수법을 사용, 에이전트에게 접근한 뒤 자격증이 정지됐으니 부동산국을 사칭한 허위 계좌로 벌금을 송금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전형적 수법이다.

사법 당국을 사칭하며 비슷한 수법으로 송금을 요구한 사례도 있다. 다른 피해 사례에서는 부동산국 직원을 사칭한 범죄자가 부동산 에이전트에게 문서위조 혐의에 해당되기 때문에 벌금을 즉시 송금하라고 요구했다. 부동산국은 공식적인 행정절차 진행 없이 부동산 에이전트에게 연락해서 벌금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전혀 없으니 각별한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사기가 의심되면 부동산국 콜 센터(877-373-4542)로 연락해 담당 수사 직원에게 확인을 요청한다.

<준 최 객원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