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G7서 우크라 지원 내세우려던 바이든, 가자 질문 나오자 ‘곤혹’

2024-06-15 (토)
작게 크게

▶ NYT “출구 못찾는 가자전쟁으로 ‘국제규범 수호자’ 美역할에 ‘그림자’”

G7서 우크라 지원 내세우려던 바이든, 가자 질문 나오자 ‘곤혹’

1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사벨레트리에서 열린 G7 정상회담 첫날, 글로벌 인프라 및 투자를 위한 파트너십(PGII) 행사에 참석하고 있는 조 바이든 대통령 [로이터=사진제공]

조 바이든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의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을 강조하려 했으나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 전쟁 관련 질문이 나오자 곤혹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4일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풀리아주 바리에서 열린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10년짜리 양자 안보 협정을 체결했다.

서명식 직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에 관한 몇 가지 질문이 있었고, 뒤이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휴전협상의 최근 상황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여러분이 규칙을 좀 지켜줬으면 좋겠다"고 정색하며 말하고는 미국이 제안한 휴전안이 이스라엘 정부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G7의 지지를 받았으며 타결 여부는 하마스에 달려 있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밝혔다.

그는 이어 "나는 우크라이나의 중대한 상황에 관해 이야기하려고 왔다. 당신은 다른 주제에 대해 질문하고 있는데 나중에 상세하게 답변할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우크라이나 관련 질문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NYT는 바이든 대통령이 예상과 달리 가자전쟁 관련 질문을 받게 되자 발끈하면서 허둥대는 듯했다고 전했다.

NYT는 바이든 대통령이 국제사회에서 민주주의의 수호자이자 국제규범의 본보기라는 미국의 전통적 역할을 되찾으려 하지만 가자 전쟁에 대한 미국의 지지가 그런 노력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으며, 이번 기자회견에서의 모습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짚었다.

바이든 행정부는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외교적 걸림돌을 없애기 위해 6주간의 정전과 순차적 인질 교환 및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 등으로 이어지는 '3단계 휴전안'을 제시했다.

유엔 안보리와 G7은 휴전안을 지지한다고 선언했으나 상황은 여의찮다. 휴전안에 동의했다던 이스라엘은 대대적인 인질구출 작전을 벌이는 등 가자지구 공격 수위를 늦추지 않고 있고, 하마스이 이에 더 강경한 조건을 요구하면서 논의는 답보 상태다.

이런 가운데 미국 내에서는 대학가를 중심으로 가자전쟁 반대 시위가 전국으로 번졌고, 바이든 대통령이 소속된 민주당을 비롯한 지지층에서는 팔레스타인 주민 인권 보호에 실패했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가자지구 전쟁 상황을 심층 조사한 유엔 독립 조사위원회가 이스라엘과 하마스 모두에 '전쟁범죄' 책임이 있다는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가 발표된 지난 12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관련 질문에 미국 정부가 보고서를 아직 읽지 않았다고 답했다.

질문이 추가로 나오자 그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국제법을 위반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제공 등 군사지원을 중단할 정도는 아니라는 국무부 보고서 내용을 언급하며 "그것이 국제 인도주의법 관련 질문에 대한 미국의 입장"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하지만 설리번 보좌관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을 가족들로부터 떨어뜨리고 국외로 빼돌려 입양시켰다는 보도 내용과 관련해 이번 주 비난 성명을 발표하면서 "비열하고 끔찍하다"고 언급하는 등 대조적 태도를 보였다고 NYT는 꼬집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