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특별칼럼] 해리스는 준비된 구원투수

2024-02-26 (월) 유진 로빈슨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작게 크게
일반적으로 부통령은 외교정책에 깊숙이 관여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전쟁을 수행한 딕 체니 정도다.)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은 외교문제에 남다른 관심과 식견을 갖고 있다.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4년 전 조 바이든이 그녀를 러닝메이트로 선택했을 때까지만 해도 해리스의 이력서에는 외교 분야의 경험이 빈 칸으로 남아 있었다. 샌프란시스코 지방 검사와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을 거쳐 연방 상원의원으로 활동했지만 외교정책 분야에서는 내세울만한 경력이 없었다. 그러나 바이든을 따라 백악관에 들어간 이후 그녀는 활발한 ‘현장 학습’을 통해 현 행정부의 손꼽히는 외교통으로 거듭났다. 해리스의 이같은 변신과 성장은 2024 대선에서 그녀가 차지하는 비중을 높여주었다.

지난주 해리스는 미국 정부를 대표해 뮌헨 안보회의에 참석했다. 국제안보정책을 논의하는 연례 회의에 그녀가 참석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필자가 전해들은 바에 따르면 해리스의 2022 뮌헨 안보회의 데뷔는 그리 신통치 않았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그녀는 주요 의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다소 머뭇거리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 사실 그녀는 수영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깊은 물속에 던져진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당시 러시아는 수백 대의 탱크와 대규모 병력을 우크라이나 접경지역에 집결시키는 중이었다. 해리스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4일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첫 회담을 마쳤다. 후일 해리스는 필자에게 “솔직히 그 때에는 젤렌스키를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서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올해 뮌헨 안보회의에서 해리스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해리스는 젤렌스키와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키이우는 자유로운 도시로 우뚝 서있다”고 강조했다. 본회의 연설에서 그녀는 미국의 적극적인 국제문제 개입을 강력히 옹호하고 나토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국제무대에서 해리스는 더 이상 어리숙한 풋내기가 아니다. 그녀는 개인적 친분을 쌓은 세계 지도자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린다.

뮌헨 안보회의에서 해리스 부통령은 아이작 헤르조그 이스라엘 대통령과 비공식 면담을 갖고 하마스에 의해 가자에 억류된 인질들의 전원 석방을 촉구하는 한편 3만여 명의 팔레스타인 사망자를 낸 이스라엘의 군사행동을 ‘중대한 인도주의적 위기’로 규정하고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에서의 공격을 장기간 중지하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무함마드 시아 알-수다니 이라크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는 이란의 지원을 받는 무장 세력의 공격으로부터 현지주둔 미군의 안전을 보장하는 확실한 조치를 취하라고 압박했다.

임기 초반까지만 해도 까다로운 국제문제에 대한 해리스의 ‘말’은 요즘과 같은 묵중한 권위를 지니지 못했다. 그러나 부통령 자격으로 16차례 해외방문에 나서면서 외교 현안을 파악하고, 각국 지도자들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바이든을 만나기 위해 워싱턴을 방문한 세계의 지도자들이 해리스와 별도의 회담을 갖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가장 최근의 사례를 두 가지만 들어보자. 요르단 국왕인 압둘라 2세는 바이든과 면담한지 하루 뒤인 2월13일 해리스와 회동했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즈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회담을 갖기에 앞서 해리스 부통령 관저를 방문해 조찬을 함께 하며 의견을 조율했다.

수십 년간 상원의원으로 활동한데 이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밑에서 부통령을 지낸 바이든의 이력으로 볼 때 외교정책에 있어 현 행정부의 최종결정권자가 누구인지는 너무도 분명하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언제든 필요한 경우 해리스가 바이든의 대타로 나설만한 충분한 외교적 역량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 또한 의심의 여지가 없다.

바이든-해리스 캠페인은 지난 수개월 동안 해리스의 외교력을 물고 늘어진 공화당 대통령 예비후보의 니키 헤일리의 주장에 강력한 제동을 걸어야 한다. 도널드 트럼프 시절에 UN대사를 역임한 헤일리는 지난주 유세에서 “카말라 해리스가 대통령이 될지 모른다는 생각만으로도 등골이 서늘해진다”고 말했다. 11월 대선에서 설령 바이든이 재선에 성공한다 해도 고령 탓에 결국 해리스가 대통령 직을 승계할 것이라는 가정에 바탕을 둔 선제공격인 셈이다. 또한 공화당 유권자의 83%가 해리스 부통령을 부정적으로 바라본다는 지난주의 유거브 여론조사 결과를 염두에 둔 ‘계산된 도발’이다.


그러나 반대편에 서 있는 민주당 지지자들은 해리스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보인다. 동일한 유거브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유권자의 86%가 그녀에게 호감을 표시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낙태와 투표권 등 주요 쟁점 안을 중심으로 민주당 유권자들의 결속을 이루어내기 위해 해리스를 적극 활용하는 민주당의 선거 전략은 대단히 효과적이다.

바이든 역시 ?결코 일어나지 않을 일이겠지만? 자신이 더 이상 대통령 직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해리스가 언제라도 군 최고 통수권자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그녀에게 현장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헤일리의 말대로 우리는 지금 ‘격동의 시기’에 살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가자는 전화에 휩싸였고, 중국은 타이완을, 러시아는 유럽을 넘보는데 공화당은 침대 밑으로 몸을 숨긴 채 모른 척 한다. 우리의 등골을 서늘하게 만드는 일은 수두록 하지만 카말라 해리스가 대통령이 된다는 생각은 거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유진 로빈슨은 30여년간 워싱턴포스트에서 다양한 분야의 글을 써왔으며 2005년부터 오피니언 페이지에 정치와 문화 칼럼을 집필해왔다. 2009년 퓰리처상 논평부문 상을 수상했으며 우아한 문체로 쓴 3권의 저서로 널리 알려져있다.

<유진 로빈슨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