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바이든은 강경, 시진핑은 유화…내달 정상회담 작전 이미 시작

2023-10-27 (금) 12:00:00
크게 작게

▶ 중, 남중국해 충돌 시 군사 개입…대중정책 실패 여론에 압박 높여

▶ “미와 평화 공존 길에 미래 운명” 대중제재 완화 이끌겠다는 의지

바이든은 강경, 시진핑은 유화…내달 정상회담 작전 이미 시작

바이든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주석. [로이터]

다음 달로 예상되는 미국·중국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정상이 각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진지 구축’ 작업에 돌입했다. 우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국에 유화적 제스처를 잇따라 취하며 대(對)중국 제재 완화를 이끌어내려 하고 있다. 반면 미중 정상회담 개최에 좀 더 적극적이었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오히려 대중 압박·견제 수위를 높이고 나섰다.

25일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27일 워싱턴 백악관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 겸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과 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미국 정부 관리 2명을 인용해 보도했다. 한 소식통은 “왕 부장은 27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의 회동이 예정돼 있다. 이때 바이든 대통령과도 개인적 대화를 나눌 수 있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26~28일 워싱턴 방문 기간 중 카운터파트인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도 만난다. 양측은 내달 11~1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중 정상회담을 개최하기 위한 사전 준비 논의를 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시 주석이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지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그러나 내달 방미를 염두에 둔 듯, 연일 미국에 ‘유화적 메시지’를 쏟아내고 있다. 26일 중국 인민일보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빈 뉴섬 미국 캘리포니아 주지사와 만나 “중국의 대미 정책은 늘 상호 존중, 평화 공존, 협력 상생을 견지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이 방향으로 계속 협력할 것이며, 미국도 중국과 같은 길을 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같은 날 미중관계 전국위원회 연례 만찬에 보낸 축전에서도 시 주석은 “(미중) 양국이 공존의 길을 확립하느냐는 세계 평화와 인류의 미래 운명이 걸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지난 9일 미국 민주당의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를 만난 자리에선 “중·미 관계를 개선해야 할 이유는 1,000개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구체적 행동도 취했다. 중국은 지난 23일 미국 아이오와주의 대두협회 판촉 행사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농산물을 구매했다. 중국이 대규모의 미국산 농산물 수입 계약을 체결한 건 2017년 이후 처음이다. 로이터는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의욕을 보인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대로 미국은 대중 견제 수위를 끌어올리는 모습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25일 백악관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일본과의 무인기 시스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미국·호주·일본은 중국 견제 목적인 안보협의체 ‘쿼드(QUAD)’의 회원국이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필리핀에 대한 어떠한 공격이라도 (미국과) 필리핀의 상호방위조약이 발동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남중국해에서 발생한 중국과 필리핀 선박 간 충돌 사태와 관련한 발언이다. 중국과 필리핀이 군사적으로 충돌하면 미국도 군사적 개입을 하겠다는 뜻으로, 중국에 초강경 메시지를 보낸 셈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