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중국 복권 열풍

2023-10-23 (월) 김능현 / 서울경제 논설위원
크게 작게
중국의 복권 역사는 고대 진시황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진나라를 세운 진시황은 만리장성 건설과 군사력 강화를 위한 비용 마련을 목적으로 한자 120자 중 10자를 맞히는 방식의 복권을 발행했다. 진나라의 뒤를 이은 한나라도 정복 전쟁을 위한 재원을 복권을 통해 마련했다는 기록이 있다.

사회주의 이념을 채택한 현대 중국도 복권의 유혹을 떨치지는 못했다. 중국 공산당은 재원 확충을 위해 1987년 복권 발행 금지령을 해제했다. 2001년 181억 위안에 불과했던 복권 판매량은 2015년 1,110억 위안으로 폭증했다.

중국에는 다양한 복권이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게 ‘중국 복지 복권’이다. 중국 당국은 복권 발행의 취지를 이렇게 설명한다. ‘사회주의적 인도주의 정신을 강화하고, 사회복지 기금을 조성하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서비스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노동과 평등을 금과옥조로 하는 사회주의 완성을 위해 일확천금과 불로소득의 상징인 복권을 발행하는 아이러니를 그럴듯하게 포장한 셈이다.

중국의 복권 산업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았다. 복권 추첨의 공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만연한 상황에서 당국이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2020년 춘절 연휴를 전후한 기간에 복권 판매를 중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중국에는 또다시 복권 열풍이 불고 있다.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올 1~8월 복권 판매액은 3,757억 위안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6% 급증했다.

중국 매체들은 복권 열풍에 대해 “경제 위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이 복권 구매로 벼락부자를 노리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공식 통계로도 올 6월 20%를 넘겼으며 7월부터는 발표마저 중단됐다. 웨이보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복권 구매 인증샷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고 한다.

삶이 힘들면 어느 나라나 복권 같은 사행성 산업의 인기가 높아지기 마련이다. 젊은이들에게 질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희망을 안겨주는 정책이 절실한 이유다.

<김능현 / 서울경제 논설위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