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 총영사관 관할지역 2년전 비해 소폭 줄어
▶ 미 전국 261만5천명
남가주 등 LA 총영사관 관할 지역에 거주하는 재외 한인들의 수가 66만여 명이라는 한국 정부의 집계가 나왔다. 19일 재외동포청이 공개한 ‘2023 재외동포 현황’ 자료에 나타난 수치로, 2년 전에 비해서 0.3%정도 소폭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재외동포청은 매 홀수년도에 재외공관을 통해 재외동포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데, 이 현황은 ▲연방 인구 센서스, 이민국 자료 등 공식 통계에 ▲공관 직접 조사 ▲재외국민등록부 등 민원처리 자료 ▲동포단체 자료 등을 활용해 산출한 추정치여서 실제 한인 인구수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는 미지수다.
이번 재외동포 현황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으로 전 세계 181개국에 708만1,510명의 재외동포가 체류하거나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재외동포 숫자가 코로나19 팬데믹과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2020년 말 기준 재외동포 규모(732만5,143명)와 비교할 때 24만여 명(3.3%) 감소했다고 재외동포청은 밝혔다.
미국의 경우 2022년 말 현재 261만5,419명을 기록해 2년 전에 비해 0.7% 감소한 수준을 보였다. LA 총영사관 관할지역인 남가주와 네바다, 애리조나, 뉴멕시코 거주 한인 숫자는 총 66만2,383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재외동포 중 한국 국적을 보유한 재외국민은 246만7,969명, 미 시민권자 등 외국국적 한인은 461만3,541명으로, 직전 통계 대비 각각 1.73%(4만3,552명), 4.15%(20만81명) 감소했다. 특히 중국 거주 동포 수는 직전 통계 대비 10.24%(24만695명) 감소, 총 감소 수치에서 대다수 비중(98.8%)을 차지했다.
재외동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상위 10개국은 미국(261만5,419명), 중국(210만9,727명), 일본(80만2,118명), 캐나다(24만7,362명), 베트남(17만8,122명), 우즈베키스탄(17만4,490명), 호주(15만9,771명), 러시아(12만4,811명), 카자흐스탄(12만1,130명), 독일(4만9,683명)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코로나19과 경기침체로 인해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감소폭이 8.12%(25만7,442명)로 가장 컸다.
아울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유럽 지역 재외동포 수가 3.38%(2만2,907명) 줄어 그 다음으로 많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
노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