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는 ‘머리에서 가슴’까지의 거리라고 한다. 감사하게도 가끔은 오랫동안 머리로 알던 생각이 어느 날 문득 가슴으로 ‘툭~’ 떨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런 현상을 심리학에서 ‘아하! 순간’ 또는 통찰이라 부른다. 세상은 누군가의 통찰들이 쌓여서 발전해왔고, 한 사람의 성장과 발전도, 어느 날 문득 머리와 가슴에 길이 뚫리는 ‘아하! 순간’를 통해서 깊어짐을 경험한다.
작년 가을 한국 방문 중 30년만에 옛 대학 동창들을 만나서 그 동안의 삶과 생각과 경험들을 듣는데 갑자기 한 생각이 머리에서 가슴으로 ‘툭~’ 떨어지는 경험을 했다. 모두들 목소리를 높여서 열변을 토하는데 가만히 들으니 그 기준은 모두 자신의 경험과 살면서 학습된 지식과 무엇보다도 세포마다 녹아있는 원가족의 가치관과 문화임을 발견했다.
인간은 어린 시절부터 자신이 속한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검토하고 해독하여 자신만의 생각의 틀과 구조를 만드는데 이를 인지심리학에서 ‘도식’ 또는 스키마(schema)라고 부른다. 이것은 주변 인물들과의 상호작용과 일련의 상황을 겪으며 형성되기 때문에 우리는 각자 경험한 세상에서 만들어진 독특한 인지구조를 가지고 산다. 이것을 알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타인의 입장에 서서 그 사람의 안경을 끼고 그 사람의 우주를 볼 수 있고, 한발 더 나아가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꼭 내가 상대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나의 우주를 벗어나 ‘두 현실 사이의 다리’를 건너서 그 사람의 우주로 소풍을 가는 것이다. 상대가 그렇게 생각하고 느끼는게 ‘그 사람 입장에서’ 말이 됨을 인정해주고, 그렇게 생각할 때 느껴지는 감정을 나누는 것이 공감이다.
올 봄의 ‘아하! 순간’을 경험한 이후 나와 가치관이 너무 달라 이해가 안 되는 사람을 만날 때 ‘너무 이상해’라고 빠르게 판단하고 마음을 닫는 대신 ‘저 사람은 나와 다른 부모와 환경과 관계를 경험하며 컸으니, 나와 다른 판단 기준을 가질 수 있겠네’란 열린 생각을 심기 시작했다. 가끔 오해를 받거나 이해받지 못할 때, 잠시 마음이 상하거나 섭섭하지만 차차 ‘그 사람의 판단 기준은 자신이니까 그 잣대로 어떻게 나를 다 이해할 수 있겠어?’란 너그럽고 기특한 마음이 생기면서 감정이 누그러지는 경험을 한다. 때로는 그 사람의 성장배경과 어린 시절 상처나 트라우마 등을 우연히 알게 될 때 ‘아! 그래서 그랬구나’라고 이해되는 경험을 여러 번 한다.
나와 다른 타인을 이해하고 상대방의 입장에 서보는 일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아무 의식이나 의심 없이 내 머리 속에 만들어진 나의 신념과 가치관을 판단 기준으로 여기며 살아왔기 때문에 ‘나는 남과 다르다’라는 열린 생각을 의식적으로 머리에 심지 않으면 남의 기준이 이상하게 보일 수밖에 없다.
가족들과 갈등이 있는 많은 내담자들이 와서 ‘저 사람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어서 공감이 안되요’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해를 못해도 공감은 가능하다. 공감은 내 경험이 기준이 아니라 상대의 경험을 기준으로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그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부족한 공감 능력은 사회생활에 치명적이고, 인간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특히 가족과의 친밀감을 유지하는데 큰 어려움을 준다. 관계에 부드러운 윤활유 역할을 하는 공감 능력은 연습과 훈련을 통해 얼마든 배우고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려주고 싶다.
<
모니카 이 심리 상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