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미·일, 자나깨나 중 견제 양자컴퓨터까지 공동 개발

2023-05-19 (금) 12:00:00
크게 작게

▶ IBM·구글, 2000억원 연구 지원

미국과 일본이 차세대 양자컴퓨터 분야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미국과 일본 대학교의 공동 연구에 미국 핵심 테크 기업들이 1억5,000만 달러(약 2,000억 원)를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7일(현지시간) IBM과 구글이 미국 시카고대와 일본 도쿄대의 양자컴퓨터 공동 연구를 위해 각각 1억 달러와 5,000만 달러를 기부한다고 보도했다.

양자컴퓨터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에너지 최소 단위인 양자의 성질을 정보처리에 이용하는 방식이다. 기존 컴퓨터가 0과 1로 이뤄진 비트로 정보를 처리한다면 양자컴퓨터는 처리 기본 단위가 큐비트(Qubit)다. 또 0과 1을 혼합하고 중첩해 나타낼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존 컴퓨터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풀 수 있는 기술로 간주되고 있다. 암호화와 무기 체계 등 군사 목적에 활용할 수도 있다.


WSJ는 “중국은 양자컴퓨팅에 막대한 투자를 해 왔다”며 “미국 연구자들은 중국 연구소가 최근 (중국) 국영 언론에서 종종 선전하는 것처럼 (양자컴퓨팅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고 일부 분야에서는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라고 전했다. 차세대 컴퓨터 기술인 양자컴퓨터에서 중국이 경쟁력을 확보하자 미국은 일본과 손을 잡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것이다.

이번 협력은 안보와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 연구마저 ‘중국 대 미국 주도 동맹’으로 점점 더 분열되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WSJ는 지적했다.

IBM의 이번 지원 및 공동연구 목표는 10년 안에 10만 큐비트의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큐비트가 많을수록 성능이 향상되는데 IBM은 지난해 11월 433큐비트의 양자 프로세서를 공개했다고 WSJ는 덧붙였다. 아빈드 크리슈나 IBM 최고경영자(CEO)는 “실험실에서 6개월이 걸리는 작업을 하루저녁에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