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MC “속도조절 적절”… 스웨덴 1%p서 보폭 좁혀
▶ 중, 지준율 인하·유동성 준비… ECB는 급인상 전망

통화정책에 대해 기자회견 하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로이터]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높여온 주요국들이 커지는 경기 침체 위기감에 긴축 속도 조절에 돌입하기 시작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3일 공개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과반을 상당히 넘는 참석자들이 금리 인상 속도의 둔화가 곧 적절해질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연준의 4연속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 이후 제롬 파월 의장이 이르면 12월부터 금리 인상 속도를 줄일 수 있다며 긴축 ‘감속’을 시사한 것이 이번 의사록을 통해서도 확인된 셈이다. 월가에서는 파월 의장이 12월 FOMC 직전인 30일 연설에서 12월 속도 조절 방침을 못 박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금리를 3.75%포인트 끌어올린 연준이 속도 조절에 돌입하는 것은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번에 공개된 의사록에서 연준은 3월 금리 인상을 시작한 후 처음으로 ‘경기 침체’라는 표현을 썼다. “연준 이코노미스트들은 내년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경기 둔화를 피할 가능성과 거의 같다고 보고 있다”며 내년 경기 침체 확률을 50%에 가깝게 내다봤다. “지금까지 공격적인 통화 긴축의 누적된 효과가 경제와 물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 상당수 연준 위원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미국이 긴축 속도를 늦추면 선진국과 신흥국 할 것 없이 달러 초강세로 인한 통화 약세와 자금 이탈을 겪어 온 상황에 숨통이 트일 수 있다.
이미 일부 국가들은 한발 앞서 속도 조절에 나섰다. 캐나다는 7월 금리를 1%포인트 인상한 후 9월과 10월 인상 폭을 서서히 좁혔고, 호주도 6월부터 9월까지 세 차례 연속 빅스텝(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후 10월과 11월에는 각각 0.25%포인트로 ‘보폭’을 줄였다. 9월 금리를 1%포인트 높인 스웨덴도 24일에는 0.75%포인트로 속도를 늦췄다.
글로벌 긴축에도 경기 부양을 위해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를 3개월째 동결해 온 중국은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고조되자 25일께 지급준비율을 최대 0.5%포인트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국무원은 앞서 22일 “적시에 지준율 인하 등 통화정책 수단으로 유동성을 합리적이고 여유 있게 유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유럽은 미국의 감속 신호에도 12월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9·10월 유럽중앙은행(ECB)의 잇단 자이언트스텝에도 10월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10.7%로 12개월 연속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유럽의 고물가는 진정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