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은 나무, 돌, 옷감, 살갗 등에서 조직의 굳은 부분과 무른 부분이 일정하게 켜를 지으면서 나타나는 상태나 무늬를 말한다.
물결, 숨결, 나뭇결, 살결… 세상에는 수많은 ‘결’이 존재한다. 고기도 결대로 썰리지 않으면 푸석해지고 맛도 덜하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 인생은 어떨까?
사람은 저마다의 결이 있다. 결은 그 사람의 삶이다. 그 사람만의 고유한 삶의 무늬이며 색깔이다. ‘결이 다르다.’ 혹은 ‘결이 다른 사람이다’는 의미는 삶의 기준과 신념이 서로 맞지 않아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나와 달라 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더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코드가 안 맞는다고도 한다.
결은 타고난 모습이다. 누구나 결대로 살길 원하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엇결로 사는 사람들이 많다. 결대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자신을 존재 자체로 인정하면 자신감을 가지고 어떤 경우든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다. 당당한 자세는 행복의 원천이다.
삶에도 결이 있다. 누군가는 순탄하게 산다. 누군가는 결을 역행하여 억지스럽고 부자연스런 삶을 산다. 결을 읽고 결대로 살면 마음의 불편함이 최소화 된다. 마음을 비우면 욕심이 사라지고 결대로 살 수 있다.
결을 따라 산다는 것이 삶을 주도적으로 살지 못한다는 것과 다르다. 결을 따라 자연스럽게 인생을 살아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인생을 결에 따라 살아 갈 때 편하게 롱런 할 수 있다. 각자의 결대로 자기답게 살되 자신과 다른 결을 가진 사람을 존중한다면, 그 사람은 이미 결대로 삶을 살고 있다.
생물이든 무생물이든 모두 결이 있다. 굽이치는 인생에도 결이 있듯 빛에도 소리에도 결이 있다. 둥근 돌에도 모난 돌에도 결이 있고, 물에도 결이 있다. 파도처럼 움직이는 물의 모양이나 상태를 물결이라 한다. 나무도 결이 있다. 나뭇결대로 도끼를 내리치면 큰 장작도 수월하게 쪼갤 수 있다.
인생도 그렇다. 굴곡많은 우여곡절의 인생길에도 결이 있으니 곡선과 직선으로 씨줄과 날줄로 자라는 삶의 결을 따라 결대로 살아가야 편하다. 결대로 살면 인생이 술술 잘 풀리고, 결을 역행해서 살면 인생이 꼬인다.
장자(莊子)의 양생주(養生主) 편에 포정해우(?丁解牛)라는 고사가 나온다. 백정인 포정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월하게 소의 뼈에서 살을 발라낸다. 포정은 문혜왕이 얼마 만에 한 번씩 칼을 가느냐고 물었을 때 이렇게 답한다. “제 칼날은 19년 사용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소를 수천마리를 잡았어도 결대로 칼을 쓰니 칼날에 무리가 가지 않아 항상 새것과 같고 그러다 보니 굳이 숫돌에 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빈 곳에 칼을 놀리고 움직여 소 몸의 생긴 그대로를 따라갑니다(導大?因其固然 도대관인기고연).”
언제까지나 때만을 생각하지 말고, 세력을 나타내는 것에만 열중하지 말라. 써야 할 힘을 저축하기 위해 쉬어야 되고, 쉬면서 자신을 돌아보고,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긴 안목으로 인생을 설계하는 것이 결대로 사는 인생이다.
우리가 그리워하고 꿈꾸어야 할 사람은 진정 결이 다른 사람이다. 만사를 억지로 움켜쥐기보다는 비우고 내려놓으려고 노력하는 지혜로운 사람이다. 결이 아름다운 사람이다. 오늘따라 결이 아름다운 사람이 더욱 그립다.
<
정성모 / 워싱턴산악인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