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어팩스 머위’ 이야기
2022-07-16 (토)
정성모 워싱턴산악인협회
머위(butterbur, sweet-coltsfoot)는 한국을 비롯한 북반구 온대와 아한대 지역 어느 곳이든지 햇볕이 잘 드는 산비탈의 숲이나 골짜기 주변의 물기가 많은 흙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한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머위가 넓고 넓은 미국 땅에는 없다. 그러나 북버지니아 페어팩스 카운티의 여러 한인집 텃밭에는 머위가 자라고 있다.
내가 이민 오기 전인 약 45년 전, 지금은 고인이 되신 장모님이 매년 메릴랜드 포토맥에 사는 큰 따님 집을 방문했다. 그때 미국에는 머위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머위 뿌리 몇 개를 구해서 포토맥 집 텃밭에서 재배하기 시작한 것이 미국에서 머위 재배의 효시이다. 건강에 좋은 쌉쌀한 머위가 자식들 입에 들어가기를 바라면서 심어 텃밭을 완전 초록으로 덮어놓았다.
무성하게 번식한 그 머위 밭에서 뿌리를 여러 개 가져와 페어팩스에 있는 우리집 텃밭에 심었다. 머위는 다년생 식물로 생명력이 매우 강해 번식력이 상상을 초월한다. 2~3년 지나자 집 텃밭이 온통 머위밭이 돼버렸다. 텃밭 정리를 위해 머위 뿌리를 몽땅 캔 후 큰 박스에 담아가서 산악회 회원들에게 나눠주었다. 약 15년 전 이야기이다. 그 뿌리가 이 집 저 집으로 세포 분열되어 페어팩스의 텃밭 가꾸는 많은 한인 집에서 머위를 볼 수 있게 됐다.
그 머위가 퍼지고 퍼져 위로는 뉴욕주까지 아래로는 사우스 캐롤나이나주까지 퍼져나갔다. 본의 아니게 ‘페어팩스 머위 원조’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을 모르는 어떤 지인은 나에게 머위 자랑을 하면서 분양받아 재배해보라고 권유한 적도 있었다. 지구가 돌고 돌 듯 머위도 돌고 돌아 원조에게 다시 온단 말인가?
머위는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전령사다. 겨우내 혹독한 추위를 견디며 지켜낸 뿌리에서 여린 줄기가 초록 잎을 거느리며 이른 봄인 3월 초쯤에 꽃을 피운다. 꽃부터 줄기, 잎, 뿌리까지 모두 먹을 수 있다. 쑥보다 먼저 나오는 머위는 쓰다. 그렇지만 약간 쓴맛이 있으면서도 특유의 향을 갖고 있다. 예로부터 입에 쓴 것이 건강에 좋다는 말이 있다. 씁쓰름한 머위를 실컷 먹고 나면 봄 한 철이 지나간다.
멸치와 건새우, 말린 표고버섯으로 국물을 낸 육수에 머위대와 찧은 마늘, 불린 쌀가루와 들깨가루를 넉넉하게 넣고 끓이다가 붉은 고추와 대파로 고명 올리고, 참기름 한 방울 넣어 완성한 머위대 들깨탕. 전주 출신 장모님이 미국에서 사는 자식들에게 해주고 싶었던 사랑의 고향음식이 머위대 들깨탕이었을거다. 장모님의 깊은 뜻을 생각하면서 올 들어 첫 번째 머위대 들깨탕을 끓여서 먹어야겠다.
<
정성모 워싱턴산악인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