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의 세계가 어떤 모습일지 짐작케 하는 윤곽선이 서서히 형태를 드러내고 있다. 미국과 영국이 접종 확대에 안간힘을 쓰고 있고,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UAE)가 집단면역을 향해 줄달음질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조만간 ‘정상으로의 복귀’가 가능하다는 추측도 나온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질문은 실제로 정상을 되찾을 때까지 과연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릴까로 모아진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새벽은 가짜인지도 모른다. 백신 개발의 놀라운 진전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용해 우리가 그린 궤적을 살펴보면 지구촌에서 코로나바이러스를 완전히 퇴치하지 못하리라는 우울한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아마도 코로나바이러스는 그대로 살아남아 변이를 거듭해가며 앞으로도 지구촌 곳곳에서 맹위를 떨칠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수년 후에도 많은 국가들이 경제봉쇄와 막대한 인명피해 위험 중 어느 한쪽을 골라잡아야 하는 어려운 선택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
백신과 관련한 기본적인 문제는 이들이 ‘필요’가 아니라 ‘돈’에 기반해 분배된다는 점이다. 주요 경제국들은 이미 전 국민 접종에 필요한 물량보다 훨씬 많은 수억 회분의 백신 구입계약을 마치고 대금 전액을 지불했다. 예를 들어 3,800만명의 인구를 거느린 캐나다는 전 국민에게 다섯 차례나 반복 접종하기에 충분한 물량을 사들인 반면 2억명의 나이제리아인들 가운데 1차 접종을 받은 사람은 아직까지 단 한명도 없다. 또 부유국들의 합산 인구는 세계 전체 인구의 16%에 불과하지만 이들이 지구촌 총 공급물량의 60%를 매점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최근 외교전문지 포린 어페어즈에 공동으로 기고한 글에서 토마스 볼리키와 차드 브라운은 호주, 캐나다와 일본의 코비드 확진자는 전 세계 누적 확진자 수의 1%에도 못 미치지만 이들이 확보한 물량은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연안국들이 구입한 백신의 총량을 웃돈다고 밝혔다. 현재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연안국들의 누적 확진건수는 지구촌 전체 수치의 17%를 상회한다.
그뿐 아니다. 몇몇 아프리카 국가들은 백신 실험에 동원됐음에도 불구하고 사하라 이남지역에서 상당량의 백신을 공급받은 나라는 단 한 곳도 없다. 이에 비해 부유한 국가들의 경우 이미 4,000만 회분의 백신 접종이 이루어졌다. 듀크대 연구진에 따르면 상당수의 개발도상국들은 2024년에야 접종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그 때까지 바이러스는 확산과 변이를 거듭하며 끈질긴 생명력을 이어갈 것이다.
빌과 멜린다 게이츠는 최근 공개한 연례 서한을 통해 중·저소득 국가들의 경우 국민 5명 당 1명만이 2021년말까지 접종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싫건 좋건 우리는 한 배에 타고 있는 공동운명체”라고 강조했다.
이 문제는 공중보건의 영역을 훌쩍 넘어선다. 국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보고서는 이처럼 한쪽으로 치우친 백신접종이 1조5,000억 달러에서 9조2,000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차원의 경제손실을 야기할 것이며 이 중 절반이 경제대국으로 꼽히는 국가들의 부담이 될 것으로 점쳤다.
35개 산업부문과 65개국에서 나온 자료들을 취합해 검토한 국제상공회의소는 세계경제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는 상황에서 코비드-19에 시달리는 방대한 지역들이 병목현상, 마찰과 수요 손실 등을 일으키면서 지구촌 전 지역의 모든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결론지었다. 다른 보고서는 부유국들이 개발도상국들을 위해 백신에 투자하는 1달러당 5달러 상당의 생산량이 되돌아올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현실에도 불구하고 백신공급 속도가 둔화되거나 지연되자 선진국의 정치인들이 신속한 자국민 우선 접종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백신 민족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예컨대 독일은 유럽연합(EU)이 화이자 백신의 수출을 제한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맞서 EU는 또 다른 백신개발체인 아스트라제네카가 유럽 국가들에 앞서 영국에 우선적으로 백신을 공급하려든다며 맞불을 놓았다. 아스트라제케카 측은 EU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며 선을 그었다. 다른 수십개 국들 역시 의료물자의 해외 수출을 제한했고 이로 말미암아 코비드-19를 퇴치하려는 범세계적 노력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부유국들이 앞장서 자국민 백신접종을 요구하는 것은 충분히 납득할만한 일이다. 그러나 백신을 매점하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이고 지각있게 행동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할 뿐 아니라 지구촌 어느 곳에서건 코비드-19를 확실히 퇴치할 수 있는 정책을 입안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볼리키와 브라운은 포린 어페어지에 게재된 기고문에서 탁월한 계획을 제시했다. 이들은 미국이 초고속 백신개발작전(Operation Warp Speed)를 통해 얻은 교훈을 활용해 생산량을 전세계적으로 백신의 생산과 공급을 늘리는데 앞장서야한다고 강조했다.
볼리키와 브라운은 과거 아프리카에서 에이즈를 물리치기 위해 미국이 주도적으로 창설한 것과 동일한 종류의 국제연맹체를 재구축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의 제안이 현실화될 경우 저개발국에 백신을 공평하게 배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로벌 연합 프로젝트인 코벡스(COVAX)가 미국이 이끌어갈 새로운 연맹체에 튼튼한 뼈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180여국이 참여한 코벡스에 동참을 거부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전임자의 결정을 뒤집었다. 바이든은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지구촌 공동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을 한데 모으는 미국의 독특한 능력을 과시할 플랫폼으로 코벡스를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구촌 공동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데 앞장서 온 미국의 전통적 위치로 돌아가야 한다.
<
파리드 자카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