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2차 봉쇄 우려·경기부양안 무산다우 943p 폭락

2020-10-29 (목) 12:00:00 조환동 기자
크게 작게

▶ 4거래일 1,815p 빠져, 대선 불확실성 악재도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2차 봉쇄령 우려에다 추가 경기부양안 타결 무산에 따른 경기침체 가능성에 증시가 급추락을 하고 있다.

28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지수가 943포인트나 내려가면서 지난 6월11일 이후 최대폭 하락을 기록하는 등 지난 4거래일 간 무려 1,815포인트가 폭락하는 패닉 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943.24포인트(3.43%) 급락한 26,519.95에 장을 마감했다. 또 S&P 500 지수는 119.65포인트(3.53%) 떨어진 3,271.0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26.48포인트(3.73%) 하락한 11,004.87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금주 들어서만 6.4% 급락한 다우지수와 5.6% 떨어진 S&P500 지수가 현 추세대로 이번 주를 마무리하면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인 지난 3월 이후 가장 큰 주간 낙폭을 기록하게 될 전망이다.

경제매체 CNBC는 “미국과 유럽 전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입원 환자·사망자 급증으로 추가 봉쇄 조치가 잇따르면서 가뜩이나 취약해진 경제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됐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다음달 3일 미국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당분간 뉴욕 증시의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주가를 부양할 대표적인 소재로 손꼽히는 추가 경기부양 패키지 협상이 공화·민주 양당의 협상 불발로 대선 전 타결이 사실상 물 건너가면서 해를 넘길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뉴욕증시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거래되는 S&P 500 지수옵션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증시지수와는 반대로 움직이면서 투자자들의 불안심리를 보여주는 ‘공포지수’(VIX)가 40.35에 달해 지난 6월15일 이래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이날 폭락의 가장 큰 이유로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미국 등 글로벌 경제의 둔화 우려를 꼽았다. 이에 따라 미국 내 다수의 주에서 경기부양책 없는 경제봉쇄를 보게 될 것이란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조환동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