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법인세 감세로 세금 부담을 덜어낸 미국 기업들이 대거 자사주를 사들였다가 상당한 손실을 보게 됐다.
투자나 일자리 확충보다는 자사주 매입에 주력한 것이 결과적으로는 뉴욕증시 급락으로 부메랑을 맞게 됐다는 뜻이다.
지난 28일 월스트릿 저널(WSJ)은 “애플, 웰스파고, 씨티그룹 등 주요 대기업들이 3분기까지 자사주를 대거 사들였다가 4분기 주가 급락으로 큰 손실을 봤다”고 보도했다.
특히 주가지수가 고점을 찍은 지난 9월까지 자사주 매입이 꾸준히 늘었다. 투자 타이밍도 좋지 않았던 셈이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는 애플을 꼽았다.
애플은 1~9월 자사주에 629억달러를 쏟아부었는데 지난 27일 종가 기준으로 자사주 매입분의 가치는 538억달러에 그쳤다. 91억 달러 평가손실이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정책이 투자·임금·배당 확대 등으로 충분히 이어지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신문은 꼬집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해 대대적인 법인세 감세를 추진하면서 경제성장 효과를 부각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감세 발 낙수효과’는 미미했다는 뜻으로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