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3’ 보충제는 심장마비나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질환이나 조기 사망 등의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말이 널리 퍼져있고 이는 마케팅에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관련 시험들에 대한 포괄적인 리뷰 결과 이런 믿음은 잘못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8일 영국 BBC 방송과 가디언 등에 따르면 비영리 의학전문가 그룹 코크란 연합은 11만2,00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실험에서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어, 대구 등 기름진 생선뿐 아니라 호두 같은 견과류에도 포함돼 있는 오메가3에 대해, 건강을 위해 필요한 필수 지방산이기는 하지만, 심혈관 질환에 도움이 된다는 어떠한 증거도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물론 오메가3는 인체 내에서 자체 생산이 불가능한 필수 지방산으로, 사람에게 꼭 필요한 성분이어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한다. 그러나 오메가3 섭취로부터 심혈관 질환 관련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은 1,000명 중 한 명 정도에 그친다는 결과다.
이번 연구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실험 대상자들은 북미, 유럽, 호주, 아시아에서 모집했으며 건강하거나 일부 질병이 있는 사람 등으로 구성됐다. 참여자 중 일부는 원래 자신들이 섭취하던 일상적인 식사를 했으며 나머지는 1년 이상 오메가3를 더 섭취했다.
대부분 실험에서 참여자들은 캡슐 형태의 오메가3 보충제를 먹었으며 일부는 생선, 일부는 마가린이나 호두에서 나온 오메가3를 섭취했다.
그 결과 기름진 생선에서 나온 오메가3는 별다른 차이점을 만들어내지 못했으며, 마가린이나 호두에서 나온 오메가3는 약간의 이득을 주긴 했지만 심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팀 치코 셰필드대 심혈관의학 교수는 “한 가지 식단 요소만으로 심혈관 질환을 줄이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