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 예산안, 지원금 전액 삭감해
캘리포니아주에 언젠 닥칠 지 모를 ‘빅원’ 위험에 대비해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가운데 시스템 설치를 위한 연방 정부 지원 예산이 전면 삭감될 위기에 놓여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20일 LA타임스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2일 연방의회에 제출한 2019 회계연도 새 예산안에 지진 대처 관련 예산 1,300만달러 가량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백악관이 이번에 삭감한 지진 대비 예산에는 특히 캘리포니아주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운영을 위한 1,020만달러의 예산도 포함돼 있어 이 예산안이 그대로 확정될 경우 캘리포니아의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는 사실상 중단될 위기에 놓이게 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 이번 예산안에서 연방 지질조사국(USGS)의 지진위험방지 프로그램 소속 직원수를 240명에서 222명으로 감축할 것을 요구했는데, 특히 이중 15개의 직책이 지진 조기 경보시스템과 관련된 인력으로 전해졌다.
캘리포니아의 지진 조기 경보시스템인 ‘셰이크 얼럿’은 캘리포니아주를 비롯해 서부 지역에 지진이 실제 발생하기 수초에서 최고 1분 전에 이에 대한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것으로 실용화 될 경우 최대 1분까지 미리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이 가능해져 강진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조기경보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연방 지질조사국과 칼텍, UC버클리, 워싱턴대, 오리건대 등 지진 전문기관 40-50여 곳에 대한 연방 예산이 지원돼야 하지만, 이같은 지원이 없어질 경우 연구 및 설치가 중단될 수 밖에 없다.
칼텍의 루시 존스 박사는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방 예산 삭감은 단순한 예산 지원 중단을 넘어 그동안 시스템 구축에 사용된 2,300만달러를 허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캘리포니아주를 대표하는 연방의원들은 가주 지진 조기 경보시스템 운영을 위한 예산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입장을 전했다.
연방 지질조사국의 기금을 감독하는 연방의회 산하 세출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는 캔 칼버트 연방 하원의원은 “지진 조기 경보시스템의 경우 주민들의 생명과 안전이 직결되는 것으로 양당의원들 모두가 연방의회에서 지지를 하고 있는 만큼 조기경보 시스템을 지속할 수 있도록 나서겠다”고 말했다.
아담 쉬프 연방 하원의원 역시 “셰이크 얼럿 시스템은 서부 해안지역의 각종 사회기반시설을 지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어 지속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
박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