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쏜 것 중 가장 성능 강력
▶ 새벽 발사·53분 비행“실전 시험한듯”
북한이 한국시간 29일 오전 3시17분(LA시간 28일 오전 10시17분) 또 다시 미사일 도발을 전격 감행한 가운데, 이번 미사일이 지금까지 쏜 미사일들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의 비행거리가 1만km를 넘어 최장 1만3,000km에 달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면서 미국 서부는 물론 수도 워싱턴 DC와 플로리다까지 미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우려를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또 북한이 한밤중인 새벽 3시 즈음에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미사일의 새로운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실전 테스트’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노림수는
이번 북한 미사일이 고도 4,500km 지점에 도달해 53분간 날아간 후 일본 혼슈 북쪽에 낙하했다. 발사 지점으로부터 낙하지점까지의 거리는 약 965.6km이다. 고도 4,500km는 미항공우주국의 국제우주정거장(ISS) 궤도보다 무려 10배나 높은 것이다.
또 53분간의 비행시간은 7월4일 발사된 화성 14형이 37분 비행했고, 7월28일 발사된 미사일이 47분간 비행했던 것과 비교할 때 대폭 늘어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에 ICBM급 사거리를 갖춘 ‘화성-14형’의 최대 비행 거리와 재진입 시험을 위해 추력을 최대로 끌어올렸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대 비행 거리 및 대기권 재진입 시험의 막바지 단계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미 전역 타격권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미국의 물리학자 겸 미사일 전문가인 데이빗 라이트 박사는 북한이 이번에 각도를 높여 발사했다면서, 정상적인 각도로 발사했을 경우 약 8,000마일(약 1만 2,800km)를 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계산했다. 이는 미국 본토와 유럽, 또는 호주 등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북한 미사일이 타격권에 들어가는 거리라는 것이다.
라이트 박사는 또 야간에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해 미사일의 새로운 성능을 테스트한 듯하다며 미사일의 성능 향상을 미국에 보여주면서 힘을 과시하기 위한 성격이 크다고 분석했다.
■실전 테스트인가
북한이 한밤중인 새벽 3시17분에 미사일을 쏜 이유와 관련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아시아태평양지역 안보 전문가인 마이라 랩-후퍼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야간 발사는 중요한 문제”라면서 “실제작전 상황 하에서 발사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이번에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해 발사한 것으로 추정하면서 “미사일 생존력이 대폭 늘었다”고 지적했다. “발사대에 장착되기 전 미사일을 타격할 수있다고 (미국이 북한에) 위협을 가할 수가 없기 때문”이란 것이다.
하지만 독일의 미사일 전문가인 마르쿠스 쉴러 박사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이 ‘실전 단계’라기 보다는 여전히 테스트 단계로 보인다고 말했다.
심야 미사일 발사는 또 한미 군 당국의 대비태세를 떠보고 요격 가능성을 피하는 한편 한미 군과 정부 관계자들의 심리적 피로감을 높이려는 목적 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