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밀문서 2,891건 공개, ‘국가안보’ 일부는 보류

1963년 11월22일 텍사스주 달라스에서 암살 사건이 발생하기 직전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 부부가 오픈카를 타고 퍼레이드를 하고 있는 모습. [AP]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암살 관련 기밀문서 2,800여 건이 26일 마침내 공개됐다. 그러나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 등 관련 문서 수백건은‘국가안보’를 이유로 이날 공개가 보류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밀로 분류된 문서들 중 2,891건에 대해서는 즉각 공개를 승인했으나 나머지 문건의 공개는 일단 보류하고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부분을 가리는‘편집 작업’을 한 뒤 6개월 이내에 공개하기로 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미국 대통령은 기밀 문건에 담긴 내용이 정보 당국과 사법기관, 외교·안보정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직권으로 기밀 해제를 보류할 수 있다.
이날 기밀문서 공개는 지난 1992년 연방의회에서 제정된‘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기록수집법’에서 규정한 케네디 암살 관련 문서의 공개 시한(2017년 10월26일)이 닥침에 따라 이뤄진 것이다.
이번 문서 공개로 범행의 배후를 둘러싼 음모론이 어느 정도 해소될지, 아니면 새롭게 또 다른 논란만 부추길지 귀추가 주목된다.
케네디 전 대통령은 1963년 11월22일 텍사스주 달러스 시내에서 부인 재클린 여사와 함께 카퍼레이드를 벌이던 도중 암살범 리 하비 오스왈드의 흉탄에 절명했다. 당시 사건을 조사한 워런 위원회는 1964년 “오스왈드의 단독 범행이며 배후는 없다”는 보고서를 내고 사건 조사를 종결했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는 케네디 암살을 둘러싸고 쿠바 또는 옛 소련의 배후설, CIA 개입설, 오스왈드 외 공범의 존재 가능성, 린든 존슨 개입설 등 여러 가지 음모론이 꾸준히 제기돼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