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메일 1만4천900건 추가 발견…
▶ 재단-국무부 ‘특수관계’ 정황 또 나와

미 민주당 대선주자 힐러리 클린턴[AP=연합뉴스]
미국 민주당의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이 가족자선재단 '클린턴 재단' 문제와 '이메일 스캔들'이라는 이중 악재를 만나 흔들리고 있다.
클린턴 재단과 국무부와의 유착 관계 논란에 더해 국무장관 시절 주고받은 개인 이메일이 추가로 발견돼 클린턴의 대권가도에 비상이 걸렸다.
22일(이하 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 연방수사국(FBI)은 사설 이메일 서버에서 클린턴이 국무장관 시절 주고받은 이메일 1만4천900건을 추가로 발견했다.
이번에 발견된 이메일 규모는 클린턴 측 변호사들이 2014년 12월 업무와 연관됐다고 여겨 국무부에 제출한 이메일(3만건)의 절반가량에 해당한다.
미 사법당국은 국무부가 클린턴의 이메일들을 검토해 정보공개법을 근거로 이메일 공개 소송을 낸 보수시민단체인 '사법 감시'(Judicial Watch)에 넘겨줄지를 결정하라고 명령했다.
선거 기간 내내 클린턴의 발목을 잡았던 '이메일 스캔들'의 망령이 되살아난 형국이다.
이메일 스캔들은 클린턴이 국무장관 시절 관용이 아닌 개인용 이메일을 사용해 비밀정보를 포함한 공문서를 주고받은 사건을 말한다. 법무부와 FBI는 장기간 수사를 벌인 끝에 지난달 초 사건과 관련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불기소 처분에도 기밀 정보를 다루는 데 클린턴이 "극히 부주의했다"는 제임스 코미 FBI 국장의 발언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가족이 운영하는 클린턴 재단에도 클린턴 이메일의 불똥이 튀었다.
최근 클린턴의 국무장관 재임 시절 국무부와 클린턴 재단 사이 '특수관계'를 보여주는 이메일이 공개돼 클린턴이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다.
사법 감시가 입수해 지난 9일 공개한 클린턴 이메일에는 2009년 재단 관계자와 국무부의 클린턴 최측근 사이에 주고받은 메일도 포함됐다.
고액을 기부한 외국인의 부탁을 재단이 대행하면서 국무부와 접촉한 정황이 드러나자 클린턴 측을 향한 비난 여론이 높아졌다.
이날도 클린턴의 국무장관 재임 시절 재단이 기부자들을 위해 국무부와 '비선(秘線)'으로 접촉을 시도했다는 것을 드러내는 이메일 관련 보도가 나왔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클린턴 측근과 재단 관계자가 주고받은 이메일에는 고액 기부자인 바레인 왕실의 왕세자를 위해 재단 관계자가 클린턴과의 면담을 추진하거나 또 다른 고액 기부자의 부탁을 듣고 영국 축구계 관계자에 대한 비자발급을 도우려 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공화당은 이메일 문제로 궁지에 몰린 클린턴을 비난하며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공화당의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는 "클린턴 재단은 정치 역사상 가장 부패했다"며 당장 문을 닫아야 한다고 공격했다.
공화당은 이번에 추가로 발견된 이메일들이 대선 전에 공개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원 과학·기술위원장인 공화당의 라마르 스미스(텍사스) 의원은 이날 클린턴 사설 이메일 서버를 관리했던 회사 3곳에 소환장을 보냈다.
공화당을 중심으로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클린턴은 자기보다 앞서 국무장관을 지낸 콜린 파월의 권유에 따라 개인 이메일 계정을 사용했다며 파월에게 책임 전가를 했다.
공화당의 조지 W.부시 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낸 파월은 이에 클린턴이 자신을 만나기 적어도 1년 전부터 개인 이메일 계정을 사용했다며 논란이 일자 책임을 돌리려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이날 "클린턴 재단과 이메일을 둘러싼 논란이 선거 때까지 클린턴을 괴롭힐 것"이라며 어쩌면 선거 이후까지 후폭풍이 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 공화당 대선주자 도널드 트럼프[AP=연합뉴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