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덕광 <원자력학 박사>
UN 기후변화대책위 (IPCC)는 금년 12월의 기후대책총회를 앞두고 2030년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안 제출을 의무화 했다. 각 나라는 기존의 배출량(BAU)에서 얼마나 감축을 해야 할지 그 양의 조정에 부심한다. 한국은 BAU의 26%, 2억2,000만 톤을 줄인다고 발표했다. 산업계, 소비자를 압박할 이 수치도 미흡하다며 배출권의 교역으로 37%의 전체감축효과를 낸다는 면피책을 내놓았다.
산업혁명 후 온실가스 CO2배출량은 증가해 왔고 1995년의 전, 후 20년간은 연 평균 2.0, 2.5%의 큰 증가율을 보였다. 이를 방치한다면 2030년 이후의 온도상승은 배출량과 비례하며 2050년경에는 4°C 이상 올라 되돌릴 수 없는 온난화에 빠진다는 경고다.
해수의 팽창과 극한지 해빙으로 해수면이 급상승하고 섬과 저지대의 수몰도 온다는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금세기중 1.2m이상 오른다고 장담한다. 기후에 큰 변화를 가져와 태풍, 토네이도, 폭우, 가뭄 등 재앙이 커져 심한 농작물 피해로 살수 없는 세상이 올수 있다는 것이다.
프란시스 교황은 BAU로는 지구의 파괴와 종말이 온다는 교지도 내리며 경고를 한다. IPCC는 교황의 예단은 신성적이라고 거들며 ‘기후혁명’을 주장한다. 정치, 환경운동, 언론, 연관사업자들의 이념적, 관념적, 이기적인 가세로 ‘지구 살리기’ 운동은 대세가 되었다.
하지만 대다수 국가들에는 화석연료 대체수단으로 원자력이나 재생에너지 개발은 쉽지 않고, 경제적 손실과 에너지 절약에도 한계가 있다. 또 온실가스로 인한 온도의 정확한 변화치를 IPCC가 제시 못하는 것도 문제다. UN은 그 신뢰성이 퇴색되면서, 자연재해의 위협적 피해를 온실가스에 돌리며 정치색을 띠는 것도 문제다. 감축요구를 배격하는 국제모임도 지난달에 있었다.
온난화의 이론적 주장은 1988년 발표한NASA의 ‘BAU대비 지표온도 추이’ 등의 논문이었다. 그 이후 과거 배출량과 일부 위성정보를 참고한 이론적 모델이 많이 나왔다. NASA와 비슷하게 1990년 이후는 가파른 온도상승이 있을 것으로 예고했었다. 하지만 이 예측치들은 지상의 실측치와는 전혀 일치하지 않고 있다. 이제는 인증을 못 받는 이 모델들을 IPCC, 환경단체는 금과옥조로 쓴다는 주장이다.
자연적이며 단기적인 기온현상을 외삽으로 확대 추정해 이론 설정에 쓰였다는 비판도 받는다. 지난 25년간의 BAU는 가정한 배출치보다 많았으나 온도상승은 예고한 0.8°C보다 훨씬 낮은 0.2°C에 불과했고, 지난15년간은 오히려 0.1°C나 내렸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지금의 평균기온은 2000년 이후 배출의 증가가 전혀 없이 계산된 온도보다 낮다는 것이다.
지난세기 전반의 온도는 후반보다 높아 배출량의 증가와 배반되는 현상도 있었다. 온도변화의 진동 폭과 주기도 지역별로 달라 북극지방의 해빙에도 남극지방은 추가 결빙이 있다고 한다. 토네이도나 태풍의 발생률은 지난 25년간 줄어 배출량과는 무관했다는 것이고, 태평양의 낮은 12개 섬의 만, 간조 수위의 상승, 평균수온의 변화도 미미하다는 것이다. 요는 온실가스를 줄여도 기후혁명이 안될 것 같은 결과들이다.
지표의 CO2 농도 400ppm의 10배가 넘는 5,000ppm까지 우주정거장에는 허락된다고 한다. BAU로 2,000ppm까지 간다는 IPCC의 주장은 심히 과장되었고 가용 화석연료를 다 태워도 지표, 해수, 삼림, 농작물에의 흡수를 감안하면 600ppm을 넘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모든 연소에는 CO2는 물론 연소방법과 연료의 성분에 따라 분진, 검댕이, 미세먼지, 질소와 황의 산화물 등 위해물질이 나온다. 이들을 채집하는 환경정화는 힘들지만 해야 할 일이다. 무해한 CO2의 경우는 다르다. UN은 기온의 자연적 변화에 CO2로의 추가 증가치를 철저히 알아보고 그 배출량을 조절해도 늦지 않을 상 싶다. CO2는 삼림과 농작물의 공기 중 거름으로 그 농도가 크면 수확도 커진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