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홈 인스펙션/ 개미와 베짱이의 겨울나기

2013-09-14 (토) 12:00:00
크게 작게
김형민 <뉴욕주 공인 홈인스펙터>

정겨운 이솝우화 중에 개미와 베짱이가 있다. 더운 여름에 땀을 뻘뻘 흘리며 겨울을 대비한 개미와 그늘에서 한가하게 기타 치며 노래 부르던 베짱이의 추운 겨울나기를 묘사한 동화이야기다. 한편 이 동화는 겨울나기의 교훈적인 이야기로 비유되기도 한다.

실상 개미처럼 여름부터 겨울채비를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가을부터 시작하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다. 그렇다고 베짱이처럼 펑펑 놀면서 겨울채비를 등한시하는 것도 아닌 듯싶다. 그저 바삐 살다보니 겨울채비를 하지 않는 습성 때문이라고 애써 변명하는 편이 옳을 듯하다.


사계절 내내 주택 소유자들이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바로 치수 즉 물의 관리다. 주택 소유자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문제는 물로 인한 피해 즉 수해(Water Damage)다. 통계적으로 주택보험 피해청구건수의 대부분이 물로 인한 피해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수해는 주로 폭우 등 비로 인한 피해와 폭설이 녹은 물로 인한 수해가 대표적인 예다. 그 중에서도 겨울에 겪는 수해는 여름에 겪는 수해와 그 느낌과 결과가 전혀 다르다. 여름보다 겨울에 당한 수해에 더 몸서리치기 때문이다.여름 홍수는 폭우로 인해 넘치기는 하나 따뜻한 날씨에 퍼내기도 하고 흘러가는 고로 그런대로 견딜만하나 겨울 폭설로 인한 홍수 피해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겨울 수해는 퍼내면 얼고 흘러가기는 커녕, 완전히 흘러가기 전에 밤새 얼어버리는 현상이 반복된다.

주택소유자들에게 겨울나기의 당면과제는 바로 겨울 치수가 아닌가 한다. 물받이 홈통(Gutter와 Downspout)이 없던 시절, 초가삼간지붕에 맺힌 고드름은 그야말로 겨울 낭만의 상징이었으나 홈통이 생긴 이래 지붕에 맺힌 고드름은 수해의 대표적 예로 변했다.

홈통에 얼어붙은 얼음이 녹으면서 처마를 타고 실내로 침투하거나 지상으로 흘러내린 물이 채 흘러가지 못하고 집 주변에 머물러 있다가 밤새 꽁꽁 얼어붙어 생긴 부피 팽창으로 인해 지하 벽면(Foundation)에 균열(Cracks)을 일으키기도 한다.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은 낙엽의 계절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낙엽이 종종 홈통을 막아버리는 고로 겨울에 눈 녹은 물이 제대로 흘러내려 가지 못하고 홈통에 고인 채 영하의 날씨에 얼어버리곤 한다.

따라서 겨울나기의 첫 번째 채비는 바로 지붕과 홈통에 쌓인 낙옆을 철저하게 치우는 것이다. 아울러 영상의 날씨에 홈통을 타고 내려온 물이 집 주변 머물러 얼지 않도록, 주변 정비를 한 다음 가능하면 멀리 흘려 보낼 수 있는 물길을 만들어 놓는 것이 중요하다.

여하튼 물이 얼면 부피가 팽창하는 성질이 있어 동절기에 영하의 날씨에 노출된 수도파이프가 얼어 터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비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잔디에 물을 주는 스프링클러(Sprinkler) 또한 철저히 배수시켜야 한다.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에 들어있는 물이 얼어 파이프가 터지는 경우 그 위치 확인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이프에 생긴 균열 사이로 서서히 새는 물은 수도료 낭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꼭지 또한 겨울채비를 단단히 해야 한다. 만일 실내에서 사용하는 수도꼭지가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면 동절기에 매년 동파방지커버를 씌우는 대신 아예 동파방지 수도꼭지(Frost-Proof Anti-Siphon Faucet)를 설치하여 항구적 동파방지를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팔트 차도(Driveway)나 콘크리트 차도의 균열 또한 수해의 대상이 됨은 물론이다. 동절기에 이 균열사이로 스며든 물이 적절히 배수되지 않고 결빙하는 경우 역시 불어난 부피로 인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바닥이 위로 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차도에 생긴 균열로 인해 표면이 울퉁불퉁 고르지 않은 관계로 넘어지거나 표면이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사고는 물론 재포장으로 상당한 수리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균열이라 할지라도 밀봉제(Sealant)로 철저히 메워 주는 주의가 필요하다.

바늘구명으로 황소바람이 들어온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동절기의 칼바람은 틈만 있으면 사정없이 실내로 침투한다. 실제로 이들 냉기는 주로 창문 틈과 문틈을 통해 들어온다. 통계에 의하면 실내 열손실의 대부분이 이러한 틈새를 통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연히 이들 틈새를 메우거나 막아 줘야함은 물론이다.
또 다른 틈새인 창문이나 문틀에 씌우는 빗물막이 철판인 플래싱(Flashing) 주변을 밀봉제로 철저히 막아주어야 한다.

플래싱이 빗물막이 역할 외에도 창문틀 주변을 이중으로 밀봉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플래싱의 틈새는 홈 인스펙션 중에 많이 지적되는 사항 중의 하나로 항상 빗물이나 눈 등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부실하게 밀봉하는 경우 자주 틈새가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래싱 주변은 그 어느 곳 보다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관심이 필요하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