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성적·이력서 외 특별한 점 교사 시각서 뚜렷이 부각

2013-07-15 (월) 12:00:00
크게 작게

▶ ■추천서

▶ 11학년 주요과목 담당자에 미리 부탁해야 카운슬러와 자주 만나서 메인포인트 전달

전에 썼던 칼럼 중에 목적과 학교에서 요구하는 사항 등에 대해 잘못 이해될 때가 많은 추천서에 대해 알아본 적이 있다(UC 등 공립대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추천서를 받지않는다). 그 때 본 것처럼 추천서에는교사, 카운슬러, 추가 등 세 가지 종류가 있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2개의 선생님 추천서와 1개의 카운슬러 추천서를 요구한다. 추가 추천서는 말 그래도 옵션이고 각 대학마다 방침이다르다. 이 부분은 각 학교의 웹사이트의 지원 요강에 보면 확인 가능하다. 대학 입시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면서 추천서의 중요성이 함께 강조되고 있다. 학생의 성취에 대한 삼자확인이 되기 때문이다. 각 추천서 종류마다 학생의 다른 모습에 빛을 더할 수 있다. 교사의 추천서는 한 과목에 대한 학생의 적성을 다루고 카운슬러의 글은 학생을 학급 전체에 비교해 평가한다. 다시 말해 교사는 각과목 안에서, 카운슬러는 각 학급 안에서 학생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보면된다. 입학사정관들은 일반적인 추천서는 입학 결정에 별 영향이 없다고말한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추천서들이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코넬의입시사정관 Gerry Cox는 이런 평범한추천서는 아예 보지도 않는다고 말한다. 글이 비슷할수록 각 학생을 구분시켜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 3년간 스탠포드 대학에서 입학사정관으로 지냈던 FLEX 카운슬링 팀의 가장최근 멤버도 그렇게 동의했다. 너무나도 우수한 많은 학생들이 자신은 잘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추천서를 받는 실수를 범한다 라고 전했다. 하지만 좋은 추천서 한 장은 그 학생을구분시켜 줄 수 있는 무기가 될 수 있다.

선생님 추천서

동양 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는 수업에서 보통 조용하고 어른과의 관계형성을 힘들어하는 것이다. AP US History수업에서 A학점을 받아도 아무런수업 참여가 없었다면 역사 선생님의추천서는 어쩔 수 없이 보편적인 추천서를 써줄 것이다.


학생의 능력과 성적에 대해 여러 좋은 말을 해주겠지만 벌써 성적표에 좋은 성적을 받았다는 것은 알고 있다.

오히려 B+를 받는다 할지라도 많은 수업 참여와 좋은 질문들을 통해 선생님의 주목을 받는 학생인 것이 더 낫다.

친구들을 모아 정기적으로 스터디그룹을 만들었다면 더 그렇다. 이런 작은정보들이 좋은 추천서를 만드는 것이다.

가능하면 메인 학과목 선생에게 추천서를 받는 것이 좋다(예를 들어, 체육 선생보다는 수학 선생이 좋다). 마찬가지로 10학년 때 선생보다는 11학년 때 선생이 더 유익하다.

좋은 추천서를 받는 것도 학생의 다른 면처럼 좋은 전락이 필요하다. 준비를 해서 선생님을 만나자. 자신의 의도를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한 이력서와다른 서류들을 사전에 준비하여 부탁드릴 때 함께 드리도록 하자. 또 선생님들에게 감사의 표시를 하는 것도 잊지 않기를 바란다.

많은 선생님들이 추천서 쓰는 일을무의미하게 생각해 모든 학생들에게써주지 않는다. Troy, Monte Vista, PaloAlto 고등학교 등 일부 학교 선생님들은 약 30~50명 학생들에게만 추천서를 써준다. 추천서를 쓰는 것이 선생님의 메인 잡이 아니라는 것을 꼭 기억하자. 추천 받아 마땅한 학생들에게만써주는 것이고 한 장을 쓰는데 평균 2,3시간을 소요한다고 한다. 그러니 선생님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고 정리된정보를 제공하고 감사편지를 간단히쓰는 것도 잊지 말자.

카운슬러 추천서


카운슬러의 추천서는 무슨 의미를가지고 있을까? 가장 큰 목적은 학급의 다른 학생들과의 비교다. 하지만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대학이 가장 좋아하는 추천서는 지원서 다른 부분에서찾을 수 없는 정보를 보여주는 추천서이다. 좋은 카운슬러는 학생의 옹호자가 되어 학생을 대신해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다.

그렇기에 학교의 카운슬러와 자주만나고 관계를 형성하고 카운슬러에게 수시로 정보를 전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이야기를 할 필요는 없지만 자신의 메인 포인트를 전해 주어야추천서를 쓸 때도 감안을 하고 쓰게된다.

카운슬러 추천서의 또 다른 역할은학생의 힘들었던 점을 한 번 더 부각시켜 주는 것이다. 카운슬러의 추천서를통해 전달되는 정보가 학생이 직접 이야기하는 것보다 훨씬 더 신뢰가 간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희귀한 눈병과잦은 수술 때문에 거의 한 달간 학교를 쉬어야 했다. 학생의 에세이를 통해대학에서도 이 내용을 알기는 했지만카운슬러의 추천서가 큰 신빙성을 심어주었다. 좋은 성적과 SAT 점수를 언급하며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좋은성적을 놓치지 않았던 다이앤의 용기를 격찬하였다.

다이앤이 직접 쓸 수 없었던 말을대신 해준 격이다. 그것에 힘입어 다이앤은 Top 3 의과대학원이 있는 WashingtonUniversity in St. Louis에 입학하였다. (자신의 경험 때문에도 의과에관심이 생겼다 한다).

카운슬러 추천서는 입시과정에서매우 귀중하지만 잘 사용되지 못하는도구 중 하나이다. 카운슬러는 학생에게 천군만마가 되어 대학과의 인연의물꼬를 터줄 수 있는 의외의 무기가 되어 줄 수도 있으니 꼭 좋은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자.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최대한 일찍추천서 준비를 하여야 한다. 물론 추천서의 중요성을 평가 절하 해서도 안된다. 전략적인 학생은 추천서에 중요한 관계들을 일찍이 파악하고 길러가는 학생들이다.

그 외에도 소수의 경우에만 해당되지만 학교 이외의 어른이나 교수(인턴십에 참가하였던 경우), 코치나 경연대회에 참가하여 만나게 된 교수, 봉사하며알게 된 지역 단체관련 어른 등에게서도 추천서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역시이 경우에도 학생의 character에 대해증언해 줄 수 있는 분이어야 함을 기억하자.

이메일: socal@FlexCollegePrep.com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