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향·내향 등 16가지로 분류 8가지 종류 지능 조합 이론도
전공 결정 도움 적성검사고등학생이나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전공을 선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만약에 평생의 직업으로 무엇을 택해야 할지 혹은 본인이 전공을 어떻게 결정할지 확실히 몰라도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의 청소년이 자신의 전공과 진로문제를 놓고 머뭇거리는 경우가 많다. 고등학교 시절에 평생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고등학교와 대학 학창시절은 학생의 인격과 성향이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때에 본인의 전공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도구로 대학 진학을 꼽을 수 있다. 대학에 진학하면 다양한 클래스메이트들을 만나 여러 가지 경험을 하면서 본인의 적성을 파악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수, 학생, 이벤트 등을 통해서도 본인의 전공과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대학에 진학해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고등학교 때에도 적성검사를 통해서 본인의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는 얼마든지 있다.
■MBTI 적성검사
MBTI는 ‘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의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가 칼 융의 성격 유형 이론을 근거로 개발한 인간 이해에 아주 유용한 도구이다.
MBTI 검사는 ▲외향, 내향주의 초점: 에너지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감각, 직관 인식기능: 무엇을 인식하는가? ▲사고, 감정 판단기능: 어떻게 결정하는가? ▲판단, 인식 생활양식: 어떤 생활양식을 채택하는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너지의 방향이 어느 쪽인가에 따라 외향적인가 내향적인가로 분류가 되고, 무엇을 인식하는가에 따라 직관적인가 감각적인가를 알아보며, 어떻게 결정하는가에 따라 사고형인가 감정형인가로 나눌 수 있으며, 채택하는 생활양식에 따라 판단형과 인식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검사를 토대로 세분화된 16가지의 유형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며 직업 및 전공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 유형별로 개개인이 선호하는 반응과 관심, 동기, 기술, 흥미 등의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따라 과연 어떤 직업이 맞을 것인지 그리고 어떤 역할이 맞을 것인지 알 수 있다.
또한 성격 유형에 따라 개개인의 학습 방법과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이 달라진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심리경향을 알아보고 실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만들어진 이 검사를 통해 많은 대기업들이 인사 관리, 인력 개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이 테스트를 이용하는 추세가 높아가고 있다.
직장사역문화연구소의 권대식 소장은 “간혹 전공을 잘못 선택해 막대한 시간과 학비를 낭비하는 한인 대학생을 보게 된다”며 “직장선택은 물론 교육과 관련한 진로와 전공 결정에도 MBTI 테스트를 활용하면 시행착오를 줄일 있는 장점이 있다”고 조언했다.
■Howard Gardner 의 다중지능이론
인간의 여덟 가지 종류의 지능을 다양한 인생과 활동과 관련시켜 발표한 심리학 및 교육이론이다. 가드너가 제시한 인간의 지능은 언어지능, 음악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신체운동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등으로 나뉜다.
가드너는 IQ 점수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보다 넓은 시각에서 인간의 잠재적 능력을 탐구하였다.
다중지능의 핵심은 ▲개인은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모든 사람은 각각의 지능을 적절한 어떤 수준까지 개발시킬 수 있다. ▲여덟 가지 지능들은 여러 가지 복잡한 방식으로 함께 작용한다. ▲각 지능 영역 내에서 그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는 언어지능, 모차르트는 음악지능, 뉴턴은 논리수학지능, 피카소는 공간지능, 타이거 우즈는 신체운동지능, 마더 테레사는 인간친화지능, 버지니아 울프는 자기성찰지, 능, 리빙스턴은 자연친화지능이 높은 사람들이다.
대입전문 컨설팅 업체인 어드미션 매스터즈 지나 김 대표는 “부모가 어릴 때부터 자녀를 유심히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자녀의 적성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해서 실제로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히고 “고교 때 세부적인 전공까지 결정해도 좋지만 최소한 이공, 사회과학, 인문, 예체능 계열 정도로 방향만 잡아도 성공적”이라고 말했다.
일반직업 분류후 흥미·특성 유형세분
■Strong 직업 흥미검사
Strong 직업 흥미검사는 직업 심리학자 에드워드 스트롱이 개인의 직업 흥미에 따라 각자에게 적합한 진로가 무엇인가를 알려주기 위해 개발한 검사이다.
특정 직업활동 종사자들의 공통적인 흥미패턴이 있는데 이 정보를 개인의 능력 및 직업에 대한 가치정보와 함께 사용하면 교육 및 진로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스트롱 흥미검사로 ▲진로, 취업 및 진학지도를 위한 진로상담 ▲학생들의 장래 직업선택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학생들의 흥미패턴과 어울리는 여가활동 권유 등에 사용할 수 있다. Strong 검사는 일반 직업분류, 기본 흥미척도, 개인 특성척도의 세 가지 척도로 분류된다.
I. 일반 직업분류
6가지 직업적 성격에서의 흥미를 표준점수로 나타낸다.
1. 현실형-기계, 건설, 신체활동
2. 탐구형-분석, 조사, 연구
3. 예술형-문화, 예술, 창작
4. 사회형-교육, 서비스, 봉사활동
5. 진취형-사업, 정치
6. 관습형-사무 및 정보처리,
II. 기본 흥미척도
기본 흥미척도는 일반 직업분류의 하위척도로, 6가지 흥미유형을 총 25개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개인의 흥미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전공과 직업뿐 아니라 여가생활에 대한 흥미를 알아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1. 현실형-농업, 자연, 군사, 운동경기, 기계
2. 탐구형-과학, 수학
3. 예술형-음악, 드라마, 응용미술, 글쓰기, 가정, 가사
4. 사회형-교육, 커뮤니티 서비스, 의료봉사, 종교활동
5. 진취형-대중연설, 법, 정치, 상품유통, 판매, 조직관리
6. 관습형-자료관리, 컴퓨터, 사무
III. 개인 특성척도직업적 성격을 보다 다양한 면을 측정한다.
1. 업무유형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을 어느 정도 선호하는지를 나타낸다.
2. 학습유형직접 실습을 통해 배우는 것을 좋아하는 지 책이나 전통적인 수업방식을 통해 배우는 것을 좋아하는 지를 측정한다.
3. 리더십유형리더로서 다른 사람들을 이끄는 것을 선호하는 정도를 재는 척도다.
4.모험심유형위험을 감수하는 활동에 대한 흥미정도를 측정한다.
<박흥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