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작문지도 이렇게 - 글쓰는 법

2009-06-01 (월) 12:00:00
크게 작게
주제가 정해지고 대략의 생각을 정리한 초고가 완성되고 나면 본격적인 글쓰기에 들어갑니다. 자신의 생각을 주제에 맞게 정리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지만 꽤 많은 학생들이 주제를 잡고도 ‘글 쓰는 법’을 몰라 주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을 쓰는 것은 자연스러운 그 무엇이라기보다는 사실 훈련에 의해 얻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글을 쓰는 것은 일종의 ‘기술’적인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꾸준한 공부에 의해서 습득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문장을 서술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문장서술의 7가지 방법
문장을 서술하는 데는 7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경우가 말 그대로 이야기를 풀어놓는 서술(narration)과 묘사(description), 정의(definition), 원인과 영향(cause and effect), 비교와 대조(comparison/ contrast), 예를 들기(illustration), 분류(classification) 등이 그것입니다. 물론 이를 아무 때나, 아무 문장에나 구사해선 안 됩니다. 글의 목적과 구성에 맞게 가장 적절한 문장법을 구사할 때만이 가장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서술과 묘사


서술과 묘사는 글을 서술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서술은 어떤 상황이나 사건이 어떻게 진행됐는가를 설명할 때 가장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장 구사법이며 묘사는 한 인물이나 장소, 사물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입니다. 또 이런 유형의 사물 외에도 심리상태와 같은 무형의 것을 설명할 때도 효과적인 설명 방법입니다. 묘사를 할 때는 오감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입니다. 듣고, 보고, 느껴지는 것들을 서술하는 것인데 이는 서술과 달리 순차적이거나 특별한 순서 없이 글쓴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서술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글의 전개법
문장 서술의 7가지 방법 외에도 글을 구성하는 방법에는 4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첫째는 일단 결론을 내려놓고 이를 뒷받침하는 예증을 드는 방법(general to specific), 반대로 예증을 쭉 열거한 다음 결론을 내리는 방법(specific to general), 질문과 대답(question to answer), 중요도 순으로 열거(order of importance) 입니다. 이중 첫째와 둘째는 많은 학생들이 글을 쓸 때 사용하는 반면 질문과 대답, 중요도 순 열거는 그리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를 적절히 잘 사용하면 흥미를 끄는 글을 쓸 수 있습니다.

‘What’s so bad about junk food? A great deal. For example, it usually contains artificial colors, flavors, and preservatives or additives that pose serious health hazards and, over the long run, may cause cancer’가 질문과 대답 형식을 빌려 쓴 글의 예문이며,
‘I am divorced now, free and alone, a woman of 45 with children who have gone off to finish school, to start families, and to spin out lives of their own. I got married when I was nineteen. Back then, some young people got married because they were genuinely in love, but too many of those I knew tied the knot for the wrong reasons.’는 중요도 순으로 글을 전개하는 방법입니다.


리처드 이 <뉴베리러닝센터 원장>
문의 (213)380-3500, www.eNEWBERY.com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