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전문교사는 앞으로도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장래성이 밝은 직종으로 손꼽힌다.
하버드·스탠포드 MBA 공동 1위
하버드 대학과 스탠포드 대학이 경영대학원 랭킹 공동 1위를 차지했다. US 뉴스 앤 월드 리포트가 지난 25일 발표한 2009 전국 대학원 순위에 따르면 유펜이 3위, MIT와 노스웨스턴대학, 시카고 대학이 공동 4위를 기록했다. 또 교육대학원 순위에서는 스탠포드가 1위, 밴더빌트 2위, UCLA 3위 순이었고, 공과 대학원에서는 MIT 1위, 스탠포드 2위, UC버클리 3위 순이었다. 주요 대학원 순위를 정리했다.
UC버클리 7위 UCLA 11위
■ 경영대학원
1 Harvard
1 Stanford
3 Pennsylvania
4 MIT
4 Northwestern
4 Chicago
7 Dartmouth
7 UC버클리
9 Columbia
10 New York
11 UCLA
요즘 부동산 경기가 바닥에 머물고 있지만 장래는 밝다. 유펜 와튼 스쿨에서는 부동산을 전공으로 공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보건(Healthcare) 분야 역시 전망이 좋은데 컬럼비아 대학원에서 관련학과를 공부할 수 있다.
2007년 경영대학원 졸업자의 평균 연봉은 8만452달러였고, 하버드 경영대학원 졸업자의 경우 13만5,630달러로 나타났다.
<전문분야 넘버 원>
▲Accounting - U of Texas-Austin ▲Entrepreneurship - Babson College ▲Executive M.B.A. - Univ of Pennsylvania ▲Finance - Univ of Pennsylvania ▲Information Systems - MIT ▲International - Thunderbird School of Global Management ▲Management - Harvard ▲Marketing - Northwestern ▲Nonprofit - Yale ▲Part-Tim M.B.A. - New York
버클리 3위 칼텍 6위 USC 8위
■ 공과 대학원
1 MIT
2 Stanford
3 UC버클리
4 조지아공대
5 Urbana-Champaign
6 칼텍
7 Carnegie Mellon
8 USC
9 Cornell
9 Michigan-Ann Arbor
11 UCSD
지구촌 식량부족이 심화됨에 따라 농업관련 분야가 앞으로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에너지 고갈에 대비한 식물을 주원료로 한 바이오 에너지 개발은 세계가 주목하는 첨단 기술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20년간 주춤했던 핵 에너지 분야 역시 빼놓을 수 없는 미래산업으로 다시 자리를 잡을 것이 확실하다.
<전문분야 넘버 원>
▲Aerospace - MIT ▲Biomedica/ Bioengineering - Johns Hopkins ▲Chemical - 칼텍 ▲Computer - MIT ▲Electrical - MIT ▲Environmental - Stanford ▲Industrial - 조지아 공대 ▲Materials - MIT ▲Nuclear - Univ of Michigan
스탠포드 1위 UCLA 3위 버클리 7위 USC 38위
■ 교육대학원
1 Stanford
2 Vanderbilt
3 UCLA
4 Teachers College
5 Oregon
6 Harvard
7 UC버클리
7 Univ of Washington
9 Michigan-Ann Arbor
10 Pennsylvania
10 Texas-Austin
38 USC
특수교육 전문교사 부족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으로 2016년까지 그 수가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연방 교육부가 제공하는 펀드를 받을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미국내 인종의 다양화가 진행되면서 외국어 교사의 수요도 늘어가고 있다.
풀타임 교사들의 미 전국 평균 연봉은 4만9,026달러지만, 캘리포니아주는 가장 높은 5만9,825달러를 보이고 있다.
<전문분야 넘버 원>
▲Administration/Supervision - Vanderbilt ▲Counselling - Univ of Maryland ▲Curriculum/Instruction - Univ of Wisconsin ▲Educational Psychology - Univ of Wisconsin ▲Education Policy - Stanford ▲Elementary Education - Michigan State Univ ▲Higher Education Adminisration - Univ of Michigan-Ann Arbor ▲Special Education - Univ of Kansas
UC버클리 6위 UCLA 16위
■ 법과 대학원
1 Yale
2 Harvard
2 Stanford
4 Columbia
5 New York
6 UC버클리
7 Chicago
7 Pennsylvania
9 Northwestern
9 Michigan-Ann Arbor
9 Virginia
16 UCLA
18 USC
특히 경제분야에서 세계가 지역단위 경제공동체를 만들고, 교역이 다양화 되면서 국제법 전문가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 지적재산권을 둘러싼 갈등 역시 증가하고 있어 관심있는 학생이라면 시야를 세계로 넓히고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문분야 넘버 원>
▲Clinical Traning - Georgetown ▲Dispute Resolutin - Pepperdine ▲Environmental Law - Lewis and Clark College ▲Health Law - St.Louis Univ ▲Intellectual Property Law - UC버클리 ▲International Law - New York ▲Legal Writing - Mercer Univ ▲Tax Law - New York
UCSF 5위 UCLA 9위
■ 의과 대학원
1 Harvard
2 Johns Hopkins
3 Washington Univ
4 Pennsylvania
5 UC샌프란시스코
6 Duke
6 Univ of Washington
8 Stanford
9 UCLA
9 Yale
14 UCSD
36 USC
인간의 생명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기를 띠면서 유전자 관련 분야는 앞으로도 가장 매력적이고, 미래가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막 의사로 활동하기 시작할 때 받는 연봉은 분야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20만달러를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으로 레지던스의 99.5%가 산부인과와 부인과에 집중돼 있어, 전공선택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분야 넘버 원>
▲AIDS - UC샌프란시스코 ▲Drug/Alcohol Abuse - Yale ▲Family Medicine - Univ of Washington ▲Geriatrics - Johns Hopkins ▲Internal Medicine - Harvard ▲Pediatrics - Harvard ▲Rural Medicine - Univ of Washington ▲Women’s Health - Harv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