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엔 지난주에 이어 연(kite)이라는 주제의 글을 읽고 서머리를 한 2점을 받은 학생의 글을 소개합니다.
Paragrahp two was about americans have used kites to conduct scientific experiments. It also talks about Benjamin Franklin used a kite to find out more about lightning. It also taks about Michae Farady elictric motor, and Thomas Edison invented the light bulb, the photograhp, and a small box for viewing movie films.
Paragraph three talks about kite’s that were used to study the atmosphere during the 18th century. It also taks about that kite’s were used in the 1790’s box kite’s, with scientific instruments bound to them, were sent high into the sky. They were able to mesure the wind speed.
Paragraph four was about Alexander Grahm wanted to fly. So he invented a kite big enough and to soport human weight and fly in the air he eventully made develomt of a gear made to fligh safer and fet control esaer.
Paragraph five was about Mr. Katsuka Murooka send his kite with a complet digital video cameras, to take photos from 90 to 120 feet. These photos are displaised in a small dome-shape building that serves as the minature portable museum of wind energy, the smallest museum devoted to kitting.>
이 글이 4점 만점에 2점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가장 큰 요인은 지문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거기다 글쓰기의 기술도 부족해 문장을 주제에서 디테일로 연결시키는 것이 아닌 지문의 첫 번째 문장은 이렇다는 식의 나열식으로 글을 전개하고 있어 서머리 라이팅의 기본이 부족해 보입니다.
이 학생의 글에서 지문의 주제는 첫번째 문장 마지막(also talk about that today kites are used for scientific studies, trasportration, and enter-tainment)에 나옵니다. 그러나 이 학생은 주제의 일부를 잡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주제 모두를 아우르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연의 기능에 있어 4점과 3점을 받은 학생들이 모두 기술했듯이 더 많은 정보, 즉 교통수단과 과학적 연구로서의 연에 대한 상세한 서술이 부족합니다.
또 글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조직적이지 못해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도 감점 요인으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글을 구성하는데 있어 지문의 문장을 재구성하는 것이 아닌 그 문장을 그대로 옮겨 왔습니다. 서머리 라이팅에 있어 자칫 학생들이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인데 이는 별로 좋은 서머리 라이팅이 아니고 되레 감점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아둬야 합니다.
또 글의 종류도 그렇게 다양하게 구사되지 못했습니다.
예를 들어 이 학생은 문장을 시작할 때마다 ‘Paragraph such and such talks about …’이라든가 ‘It talks about…’ ‘That they we’re made with silk and bamboo’ 또는 ‘It also taks about that kite’s were used in the 1790’s…’처럼 첫 시작을 비슷한 형태로 반복하고 있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렇듯 철자와 문법에서도 오류가 눈에 뜨입니다.
시제 오류도 보이는데 ‘Mr. Katsuka Murooka send his kite with a complet digital video cameras’가 그 예이고 대문자를 써야 하는데 소문자로 쓴다든가(‘was about americans’) 철자법(trasportration, paragrahp, elictric, displaised, kitting)도 틀린 것들이 많았습니다. 철자와 문법 오류를 막기 위해선 글을 읽고 반드시 재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문의 (213)380-3500, www.eNEWBERY.com
리처드 이
<뉴베리러닝센터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