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프랑스 사태의 교훈 How immigrants fit in

2005-12-08 (목)
크게 작게

▶ 언론의 눈

지난 수주간 이어진 프랑스 소요사태가 조금씩 진정되고 있으나 이번 사태로 드러난 프랑스 사회의 깊은 갈들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국내에서도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것인지 고려해보지 않을 수 없다. 캐나다는 이민자의 나라이며, 지금도 계속 이민자들이 들어오고 있다. 대다수 이슬람 신도들인 북아프리카인들이 대거 영입된 프랑스와 달리 국내로는 카자흐스탄에서 마카오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의 다양한 민족들이 들어온다. 국내의 상황을 볼 때 어느 한 민족이나 종교그룹이 전체사회에서 특별하게 소외감을 느끼거나 배척되는 일은 없다.
그렇다고 방심해선 안된다. 오늘날의 신규 이민자들이 당면하는 경제·사회적 상황은 쉽지 않다. 빈곤층에 속한 사람중 신규이민자, 원주민, 편모 등이 다수를 차지한다. 빈부격차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1980년에서 2000년 사이 빈곤지역 가족의 중간소득(median income)은 0.25% 증가한 반면, 부유층 가족의 중간소득은 23%나 늘어났다.
연방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오늘날 신규이민자들의 실업률이 예전보다 훨씬 더 높고, 자신의 전공분야에 맞는 직장에 취직할 가능성은 예전만큼 높지 않다. 밴쿠버의 경우 2001년 대학교 졸업장을 가진 신규 이민자의 31%가 막노동 등 단순직종에 종사한 것에 비해 국내 태생 대졸자들 중에선 13%만이 자신의 전공이 맞지 않는 직장에 다니고 있었다. 물론 신규 이민자와 국내 태생 근로자들의 소득수준에도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복합문화 정책에 대한 구태의연한 주장만 내세워선 아무 소용이 없다. 문제의 심각성에 걸맞는 신중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복합문화 정책을 통해 ‘보다 단결되고, 창의력을 발휘하는 캐나다’를 만들겠다지만 이를 위해선 모든 사람에게 기회가 돌아가는 평등한 사회를 이룩해야 한다. 그때까지는 프랑스의 상황을 보면서 “저런 일이 여기선 있을 수 없다며 자만해선 안 된다. (글로브 앤드 메일)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