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치인은 특히 선거 때만 되면 중산층 끌어안기에 여념이 없다. 이번 선거에서도 중산층과 관련된 이슈는 중요하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대목은 부부 노동자가 증가하고, 대다수 노동자의 임금이 정체돼 있다는 점이다. 1980년대 초 이후 요즘처럼 중간계층이 엷어진 적이 없다. 게다가 이들의 경제 여건이 불확실하다는 게 더 주목된다. 소득이 다소 오른 것도 부부가 같이 일터에 나갔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결코 1980년대보다 사정이 좋아진 게 아니다.
부부가 일을 하더라도 생활이 질이 유지된다면 별 문제이다. 그러나 실제 아이들을 맡기는 비용 등을 따지면 비용은 더 든다. 중산층의 ‘품위’를 유지하기가 예전보다 더 어려워졌다. 정치인들은 중산층이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공약하지만 재원을 확보하는 게 녹록치 않다. 각종 혜택을 남발하다간 사회의 경쟁력을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오히려 현실성 없는 공약을 남발하다간 중산층 지원 레토릭이 부메랑이 돼 돌아갈 수 있다.
자녀가 아프기라도 하거나 재정적으로 위기에 봉착하면 중산층은 절벽으로 몰리기 십상이다. 가계 소득은 지난 30년 동안 2~3배 더 불안정한 상태이다. 교육수준이 높은 부부 노동자라도 마찬가지이다. 그 이유는 이렇다. 고용불안, 임금 불안, 정부 및 고용주 지원프로그램 삭감, 부부 노동자 해고 가능성 증가 등이다.
또한 중산층을 경제위기에서 구해낼 공공 및 민간 프로그램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한 문제이다. 의료보험을 확대하고 다양한 지출 프로그램으로 어려운 가정을 돕는 것은 긴요한 출발점이다. 그러나 우리가 직면한 과제는 정치인들이 얘기하는 것보다 훨씬 심대하다.
제이콥 해커/워싱턴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