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달라진 한인 선거 풍토

2000-11-02 (목)
크게 작게

▶ 이런이야기, 저런이야기

LA에서 대표적 유권자 등록 운동 단체의 하나인 한미연합회(KAC)는 최근 선거 담당 직원수를 하나 늘렸다. 찾아 오거나 전화로 선거 문의를 해오는 사람수가 예상밖으로 많아 기존 인원으로는 업무처리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선거 정보를 얻기 위해 4번씩 버스를 찾아 오는 노인이 있는가 하면 일부 노인 아파트에서는 아예 선거 책임자를 정해 그 단지에 살고 있는 노인들이 단체로 등록하는 경우도 있다. 이 단체 관계자는 “올해는 특별히 한인 관련 이슈도 없는데 이처럼 노인들이 성의를 보여주는데 대해 감사할뿐”이라고 말했다.

한인들은 미국에 살고 있는 소수계중 가장 투표를 하지 않는 민족중 하나였다. 현재 미국내 거주하고 있는 200만 한인중 40%가 시민권자로 추정되지만 그중 유권자 등록을 하는 사람은 절반에 못미친다. 등록을 하고 투표까지 하는 사람은 또 그 절반 이하다. 결국 유자격자10명중 한두명이 표를 던지는 셈이다.


그러나 최근 수년 사이 한인들의 투표 행태에 변화가 일고 있다. 80년대까지 극히 저조하는 한인 투표율이 92년을 계기로 급증하기 시작한 것이다. 4·29 폭동이 기폭제가 된 것은 물론이다. 그후 웰페어 삭감등이 이슈로 떠오르면서 시민권 취득과 투표 참여자 수가 눈에 띄게 늘기 시작했다. 올해는 지난 번 선거보다 유권자 등록자수가 30%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 넘어야할 산은 많다. 그중 제일 문제는 정작 미국 사회와 밀착해 있는 30~40대 한인들의 투표율이 극히 저조하다는 점이다. 한인 투표자의 절반이 노인이고 20대와 중년층은 각각 10% 미만이라는 통계도 나와 있다. 표의 질도 문제다. 올해는 좀 나아졌지만 지난 번 선거 때까지는 한인 노인의 90% 이상이 민주당을 찍었다고 한다. 공화당에서 웰페어를 깎으려 했다는 것이 주원인이다. 두당의 정책을 비교해 내린 결정이 아니라 자신에게 돈을 주느냐 안주느냐가 유일한 판단기준이 된 셈이다. 요즘은 한글안내 책자가 나와 좀 나아졌지만(책자 내용은 수준미달이다) 전에는 영어를 읽지 못해 누가 어느 당에 속해 있는지도 모르고 투표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유대인과 흑인은 가장 발언권이 강한 소수그룹이다. 유대인은 인구는 600만밖에 안되지만 투표율 높기로 정평이 있다. 2000년 동안 나라없는 민족으로 시달리면서 정치적 발언권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이다. 흑인 또한 60년대 민권운동을 통해 한표 한표가 피로 쟁취한 소중한 권리라는 인식이 뿌리깊이 박혀 있다. 이들 같은 경험이 없는 한인 대부분은 아직도 선거에 무덤덤하다. 올해 같이 아슬아슬한 선거에서 한인표가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수 있게 되는 날 정치인들이 한인을 우습게 보는 일도 사라질 것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