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MS·엔비디아, 앤트로픽과 전략적 파트너십…오픈AI 의존 줄인다

2025-11-18 (화) 01:20:37
크게 작게

▶ 앤트로픽, 150억 달러 투자받아 MS 클라우드 300억 달러 구매

MS·엔비디아, 앤트로픽과 전략적 파트너십…오픈AI 의존 줄인다

엔스로픽 [로이터]

오픈AI 초기 투자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의 경쟁자인 앤트로픽과 협약을 맺는 등 인공지능(AI) 시장에서 합종연횡이 이어지고 있다.

MS는 엔비디아, 앤트로픽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앤트로픽은 MS의 애저 클라우드 서비스 300억 달러(약 44조원) 상당을 구매해 컴퓨팅 용량을 최대 1GW(기가와트)까지 끌어올리게 된다.


MS는 자사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 고객에게 앤트로픽의 AI 모델 '클로드'를 제공한다. 대상 클로드 모델은 소넷 4.5, 오퍼스 4.1, 하이쿠 4.5 등이다.

이에 따라 클로드는 주요 AI 모델 가운데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구글 클라우드에 이어 MS 애저까지 세계 3대 클라우드 서비스 모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모델이 됐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우리는 점차 서로의 고객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앤트로픽의 모델을 사용하고 그들은 우리의 인프라를 활용하며 함께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이크 크리거 앤트로픽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날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MS 개발자 행사 '이그나이트 2025' 행사에 참석해 "처음부터 두 회사가 DNA와 신뢰를 공유한다는 느낌이 들었다"며 "신뢰할 수 있는 우리 모델과 MS 플랫폼을 결합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함께 협약을 맺은 엔비디아는 앤트로픽 모델이 성능·효율성·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와 엔지니어링 작업에 협력할 예정이다.

앤트로픽은 엔비디아의 '그레이스 블랙웰', '베라 루빈' 등을 활용해 1GW(기가와트) 규모의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기로 했다.

앤트로픽에 대한 투자도 이번 협약에 포함됐다. 엔비디아는 100억 달러, MS는 50억 달러를 앤트로픽에 투자하기로 했다.


결국 앤트로픽은 엔비디아와 MS에서 투자받고, 이 투자금으로 다시 엔비디아의 칩을 장착한 MS의 클라우드를 구매하는 이른바 '순환 거래' 계약을 맺은 셈이다.

이번 협약은 또 그간 오픈AI의 초기 투자사로서 챗GPT를 자사 서비스에 주로 활용해온 MS가 오픈AI 의존을 줄이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나델라 CEO는 "오픈AI는 여전히 주요 파트너"라고 밝혔지만, 긴밀했던 양사 관계는 조금씩 느슨해지고 있다.

오픈AI는 최근 영리를 추구할 수 있는 공익법인(PBC)으로 조직을 재편하면서 MS와의 협약도 고쳐 한때 클라우드 서비스 독점 공급자였던 MS의 영향력에서 탈피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이달 초에는 AWS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매하는 38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발표하기도 했다.

반면 AWS 클라우드를 주력으로 활용해왔던 앤트로픽은 MS와의 협업을 통해 클라우드 공급 다변화를 꾀하고 있는 모양새다.

금융투자회사 D.A.데이비슨의 길 루리아 분석가는 로이터 통신에 "이번 파트너십의 핵심 요소는 AI 경제가 오픈AI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것"이라며 "MS는 선두 모델 기업에만 의존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엔비디아도 오픈AI 성공에 어느 정도 의존해왔으나 이제는 보다 넓은 수요 창출을 지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