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대만에 무기 판매를 승인한 미국이 엄중히 항의했으며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17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방부는 최근 미국 정부가 대만을 상대로 한 3억3천만 달러(4천800억원) 규모의 전투기 부품 판매 계약을 승인한 것과 관련해 이날 장샤오강 중국 국방부 대변인과 기자와 문답 형식으로 입장문을 내고 이같이 말했다.
장 대변인은 "미국의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는 '하나의 중국' 원칙과 중미 3개 공동성명(수교 성명) 등 양국 관계의 주요 성명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으로, 중국의 내정에 거칠게 간섭하고 중국의 주권과 안전이익을 훼손하며 '대만 독립' 분열 세력에 중대한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에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하고 미국 측에 엄정한 교섭을 제출('외교 경로를 통한 항의'를 의미하는 표현)했다"며 "미국이 대만을 무장시키는 악질적 행위를 즉시 중단하고 양국 및 양국 군 관계 발전에 충격과 영향을 미치는 일을 피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무력으로 독립을 돕는' 것은 제 몸을 불사르는 것이고, '대만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것은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13일(현지시간) 대만에 3억3천만 달러 규모의 전투기 부품을 판매하는 계약을 승인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재집권한 이후 처음으로, 미국이 판매하는 부품은 대만군이 F-16, C-130, 대만 IDF 전투기 등의 유지보수 등에 쓰일 예정으로 알려졌다.
중국 국방부의 이러한 입장은 또한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유사시 대만 개입' 발언을 둘러싸고 중일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왔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일본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만을 자국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중국은 연일 고강도 비난을 쏟아내는 한편으로 일본과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에 해경선을 보내 무력시위를 했다. 또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과 유학 '자제령'을 내리는 등 공세를 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