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AE 선례 들어 국교 정상화 압박…팔레스타인 해법 놓고 이견 여전

트럼프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 [로이터]
중동의 군사 판도를 뒤흔들 수 있는 미국 F-35 전투기의 사우디아라비아 판매 문제에 대해 이스라엘이 조건을 내걸었다고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가 1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정부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F-35 전투기를 사우디에 판매하려면 반드시 이스라엘과 국교 정상화가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한 이스라엘 관리는 "사우디가 외교적 성과 없이 F-35를 받게 된다면 그것은 실수이자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며 F-35가 중동 평화를 위한 '협상 카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은 아랍에미리트(UAE)가 2020년 아브라함 협정으로 양국 관계를 정상화한 뒤 미국이 F-35 판매를 승인했던 것처럼 사우디 역시 국교 정상화가 선행 조건이 돼야 한다는 논리다.
아브라함 협정은 트럼프 대통령 1기 집권 시절인 2020년 UAE, 바레인, 수단, 모로코가 이스라엘을 공식 인정하고 수교한 것을 가리킨다.
F-35 전투기 구매와 사우디-이스라엘 국교 정상화는 오는 18일 진행될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트럼프 대통령 간의 백악관 회담에서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미국 무기의 최대 고객인 사우디는 공군 현대화, 이란 위협 대응 등을 목적으로 수년간 F-35 구매를 추진해왔다. 특히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에게 F-35 구매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F-35는 적의 탐지를 피할 수 있는 스텔스 기술을 장착한 최첨단 전투기로, 중동에서는 이스라엘만 보유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사우디가 F-35를 보유할 경우 중동에서 군사적 우위가 약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사우디가 국교 정상화를 통해 이스라엘의 적이 아님을 증명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사우디의 국교 정상화는 트럼프 대통령도 간절히 원하는 바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 시절 최대 외교 치적인 '아브라함 협정'을 확대하길 원하지만,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문제가 걸림돌이다.
사우디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과 수립을 위한 로드맵에 합의할 때 협정에 동참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를 거부하고 있어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스라엘 관리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에서 이러한 요구 사항을 완화하도록 압력을 가하길 희망하며, 수개월 내에 국교 정상화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을 도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 이스라엘 관리는 "사우디는 이번 방문 기간 태도를 바꿔야 한다"며 "트럼프와 빈 살만의 회담이 국교 정상화를 향한 명확한 로드맵으로 이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