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산자위, 한미 관세합의 설전…野 “비준 필요”·與 “바보같은 짓”

2025-11-11 (화) 09:30:51
크게 작게

▶ 산업장관 “비준 동의 받지 않을 것”…통상본부장 “행정부에 신축성 줘야”

산자위, 한미 관세합의 설전…野 “비준 필요”·與 “바보같은 짓”

(서울=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1일(한국시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11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11일(이하 한국시간) 열린 전체회의에서 한미 관세 합의에 대한 국회 비준 필요성 여부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국회는 국가나 국민에게 중대한 재정적 부담을 지우는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동의권을 갖는다'는 헌법 60조를 근거로 국회 비준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맹공을 폈다.

정동만 의원은 "500조원이 넘는 나랏돈을 투자하는 합의에 국회 동의가 필요 없다는 민주당 주장에 동의하느냐"고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에게 물었다.


정 의원은 대미 투자처를 추천하는 투자위원회가 미국 측 인사로만 구성된 점 등을 거론하며 "이게 성공적인 협상이 맞느냐"고 따지기도 했다.

이에 김 장관은 "양해각서(MOU)의 경우 조약이 아니고 비구속적 성격을 갖고 있기에 국회 동의는 받지 않을 예정"이라며 "협의위원회에는 한국 측도 들어가 있다. 내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보고드리겠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회 비준 동의가 필요하다는 야당의 주장이 어리석다고 깎아내렸다.

이언주 의원은 "비준해야 할 사안도 하지 않도록 머리를 써야 할 상황에서, 안 해도 되는 사안을 비준해야 한다고 주장하느냐"며 "(그런 주장은) 바보 같은 짓"이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관세는 미국 행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이고, 앞으로 미국의 정세가 어떻게 될지 모른다. 트럼프 행정부의 태도가 변하거나 우리의 투자 부담이 낮아질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 의원 지적에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비준은) 부담이 되는 측면이 있다. 신축성을 갖고 행정부에서 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공감했다.

이날 산자위는 산업통상부·중소벤처기업부·지식재산처 소관 2026년도 예산안을 예산결산소위원회에 상정하고 심사에 들어갔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