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도 불응하면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구인 절차 밟을 듯
▶ 특검 “조사일 추가 지정·강제구인 등 다각적 대응 논의”
채상병 순직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오는 11일(이하 한국시간) 출석하라는 요구서를 재차 발송했다. 세 번째 소환 통보다.
특검팀은 8일 언론 공지를 통해 "윤 전 대통령에게 11일 오전 10시에 출석하라는 요구서를 서울구치소에 팩스로 발송 완료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서울구치소에 수용돼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달 23일과 이날 두 차례 출석 요구에 모두 불응했다. 변호인단의 사정 또는 재판 일정을 그 이유로 들었다.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당일 출석 여부와 관련해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논의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15일로 (출석일을) 지정해줄 것을 지속해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이 3차 소환에도 불응할 경우 특검팀은 체포영장 청구를 비롯한 강제구인 절차를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민영 특검보는 그간 윤 전 대통령이 별다른 사유 없이 계속 조사를 거부하면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 조치를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직권남용·범인도피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이다.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출발점인 'VIP 격노'의 당사자인 동시에 대통령실 및 국방부에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혐의자에서 제외하도록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을 받는다.
또 윤 전 대통령은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선상에 올라 출국금지돼 있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호주 대사로 임명해 도피하도록 도왔다는 의혹도 받는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출석하면 수사 외압 의혹, 이 전 장관 도피 의혹 순으로 조사한다는 방침을 세운 상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