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지원금 재개 조건으로 거액 벌금 납부키로…DEI 정책 폐기 약속
유대계 학생에 대한 괴롭힘을 방치했다는 혐의를 받은 미국 명문 코넬대도 벌금을 납부하기로 합의했다.
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코넬대는 이날 벌금 3천만 달러(약 437억 원)를 3년에 걸쳐 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코넬대는 벌금과는 별개로 미국 농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3천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아울러 코넬대는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을 폐기하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지침을 교직원 교육 자료에 포함하기로 했다.
이 같은 합의로 코넬대는 트럼프 행정부가 보류했던 2억5천만 달러(약 3천645억원) 이상의 연구 자금을 다시 받게 된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테러로 촉발된 가자전쟁 이후 반(反) 이스라엘 시위가 확산한 미국 대학을 대상으로 민권법 위반 조사에 착수하면서 연구비 지원을 중단했다.
유대계 학생에 대한 괴롭힘을 방치한 것은 '인종, 피부색, 국적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은 민권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이유에서다.
대학 측이 캠퍼스 내에서 다양한 유대인 혐오 행위를 제지하거나 처벌하지 않고 시위를 방치한다는 것이 정부의 주장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대학가의 반이스라엘 시위에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코넬, 컬럼비아, 하버드 등 아이비리그 대학들을 포함해 미국의 60개 대학이 민권법 위반 혐의로 연구비 지원이 중단됐다.
이에 따라 컬럼비아대가 벌금 2억 달러(약 2천915억원)를 내기로 합의하는 등 대학들은 자금 지원을 다시 받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
마이클 코틀리코프 코넬대 총장은 성명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와의 합의에 대해 "학문적 자유와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연방정부와의 협력 관계를 다시 확립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