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소사이어티 연설…美당국자 “韓, 미래지향 의제 설정에 역할”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강경화 주미대사가 6일 뉴욕 아시아소사이어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성과 토론회에 화상으로 참가해 연설하고 있다. 2025.11.6
강경화 주미대사는 6일 2025년 한국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 수행 성과에 대해 "인공지능(AI) 이니셔티브와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채택을 통해 APEC의 지평을 넓히고 새로운 협력 영역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강 대사는 이날 뉴욕에서 경주 APEC 정상회의 성과 및 향후 협력 방안을 주제로 아시아소사이어티가 주최한 토론회에 화상으로 참석해 이처럼 말했다.
강 대사는 APEC 정상회의가 채택한 AI 이니셔티브에 대해 "경제발전 단계와 관계없이 모든 APEC 회원이 승인한 AI에 관한 첫 번째 정상급 합의"라고 강조했다.
이어 "AI 전환이 경제 성장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런 전환의 혜택이 모든 경제권과 부문에 광범위하게 분배돼야 한다는 공동의 인식이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강 대사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채택과 관련해서도 "한국은 노동, 사회적 결속, 장기 성장에 대한 큰 영향을 고려해 인구구조 변화를 새로운 논의 영역으로 도입했다"며 "APEC 지도자들은 처음으로 이를 도전과제로 인정하고 해결하기 위한 협력 프레임워크를 만들었다"라고 평가했다.
강 대사는 또 경주 APEC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 기회를 제공하는 등 수많은 양자 정상회담의 플랫폼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미 국무부에서 APEC 업무를 담당하는 고위 관료인 케이시 메이스도 뒤이은 화상 연설에서 "한국의 리더십 덕에 이번 APEC 행사가 큰 성공을 거뒀다"며 특히 AI 및 인구구조 변화 문제와 같은 미래지향적 의제를 설정하고 합의를 끌어내는데 놀라운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열린 모든 장관급 회의에서 AI를 핵심 요소로 삼아 다양한 영역과 지역의 정책입안자들에게 AI가 제공하는 기회에 대한 노출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