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미, ‘가자지구 국제군’ 최소 2년간 주둔 추진

2025-11-05 (수) 12:00:00
크게 작게

▶ 휴전 유지 국제안정화군

▶ 내년 1월 첫 파병 목표
▶ 민간인·구호물 보호 등

미, ‘가자지구 국제군’ 최소 2년간 주둔 추진

가지지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제 적십자 차량. [로이터]

미국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휴전 유지를 위해 최소 2년간 국제안정화군(ISF)을 주둔시키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무장해제를 거부하는 경우 ISF가 나설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온라인매체 액시오스는 3일 “미국이 가자지구 ISF 주둔 관련 내용이 담긴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초안을 각 회원국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액시오스가 입수한 초안에 따르면 미국과 다른 참여국들이 2027년 말까지 가자지구 통치 및 치안유지에 관한 폭넓은 권한을 부여받는다. 이후 연장 가능성도 포함한다.

ISF 역시 최소 2년간 가자지구에 머물게 된다. 미국은 내년 1월 첫 ISF 병력을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SF에는 이스라엘·이집트와 가자지구 사이의 국경 지역을 지키고, 민간인 및 구호물자 반입 통로를 보호하는 임무가 부여된다.


팔레스타인 경찰을 훈련하고 이들과 협력하는 역할도 맡는다. 결의안은 ISF가 ▲군사·테러 방지 ▲공격 관련 인프라에 대한 파괴 및 재건 방지 ▲비국가 무장단체의 무기 영구 폐기 등 가자지구 비무장화 과정을 보장해야 한다고도 적시했다. 액시오스는 “하마스가 자발적으로 무장해제를 하지 않을 경우 ISF가 나설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결의안은 ‘평화위원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평화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평화구상에서 제시된 가자지구 임시 통치기구로, 트럼프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는다.

평화위는 과도적 행정관리 권한을 갖고, 가자지구 재건을 추진한다. 종전 뒤 가자지구 통치 주체로 거론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개혁을 완료하고 승인을 받을 때까지, 평화위가 가자지구 재건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과 자금 유치 등의 업무를 맡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평화위가 ISF 활동에 관여할 수도 있다. 결의안에는 “ISF는 평화위가 수용할 수 있는 통일된 지휘체계하에 배치될 것”이라고 나와 있다. 미국은 이 결의안 초안을 토대로 회원국들과 며칠간 협상한 뒤 몇 주 내 결의안 채택을 위한 표결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 결의안은 ISF를 위한 각국의 파병과 평화위의 가자지구 활동 등에 관한 법적 근거로 기능하게 된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