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9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3.0%↑…예상 밑돌며 시장 안도

2025-10-24 (금) 10:23:08
크게 작게

▶ 근원물가 상승률은 소폭 둔화…美정부 셧다운으로 지연 발표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월 들어 3%대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월 대비 소폭 둔화한 데다 이날 발표된 지표 모두 전문가 예상치에 못 미쳐 시장을 안도하게 했다.

미 노동부는 9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지난 8월(전년 동월대비 2.9% 상승)에 비해 소폭 오른 상승률이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 4월 2.3%로까지 둔화했다가 이후 상승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전월 대비로는 0.3% 상승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0% 올라 8월(3.1%)보다 상승률이 둔화했다. 전월 대비로는 0.2%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수치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를 모두 밑돌았다. 대표지수와 근원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과 전월 대비 상승률 모두 전망치를 각각 0.1%포인트 밑돌았다.

이날 물가지표는 당초 10월 15일 발표가 예정됐으나 미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탓에 이날로 지연돼 발표됐다.

노동통계국은 셧다운 개시 이후 경제통계 산출 관련 업무를 일시 중단했지만, 소비자물가지수가 미 사회보장국의 내년도 연금 지급액 산출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해 예외를 적용했다.

다만 소비자물가와 함께 노동통계국이 산출하는 핵심 통계 중 하나로 꼽히는 비농업 고용지표는 셧다운 사태 이후 발표가 지연되고 있다.

이날 소비자물가 지표 발표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열리는 28∼29일을 앞두고 중요한 물가 통계를 얻을 수 있게 됐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75∼4.00%로 0.25%포인트 낮출 것으로 예상한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10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98.9%로 반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 여파로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연준의 목표 수준(2%)을 여전히 웃돌고 있지만, 연준이 당분간 노동시장 약화에 더 무게 중심을 둘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최근 공개연설에서 "덜 역동적이고 다소 약한 노동시장에서 고용의 하방 위험이 증가해온 것처럼 보인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날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예상을 밑돌면서 금융시장도 안도하는 분위기다.

이날 뉴욕증시 개장 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선물은 오전 9시 15분 기준 전장 대비 0.6% 상승 거래됐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같은 시간 3.47%로 전장 대비 2bp(1bp=0.01%포인트) 하락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