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강경화 신임 주미대사 부임… “북미대화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2025-10-04 (토) 09:54:21
크게 작게

▶ 美 도착 직후 “국익 챙기는 외교현장 다시 동참해 설레”…6일 취임식

▶ “트럼프 만난다면 당장의 현안들로 흔들릴 한미동맹이 아님을 강조할터”
▶ “한미간 꼬여있는 난제들, 공관의 모든 역량 동원해 풀도록 노력”

강경화 신임 주미대사 부임… “북미대화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워싱턴=연합뉴스) = 강경화 신임 주미대사가 4일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한 자리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2025.10.4

강경화 신임 주미대사는 4일 부임 일성으로 "(한미간) 난제들이 꼬여 있는 만큼 저뿐 아니라 공관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문제들이 잘 풀릴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때 외교장관을 지낸 강 대사는 이날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한 자리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몇 년 만에 다시 국익을 챙기는 외교 현장에 동참하게 돼 설렌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제가 쌓은 외교장관 시절의 역량, 최근에 아시아소사이어티라는 뉴욕의 아주 비중있는 비정부 단체 회장을 지낸 모든 경험과 역량을 총동원해서 대사직을 수행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강 대사는 오는 6일 대사관에서 취임식을 하고, 미국 정부에 신임장을 제출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본격적으로 대사직을 수행하게 된다.

주미대사관은 지난 7월 중순 조현동 전 대사가 이임한 뒤 80여일 동안 대사대리 체제로 운영돼왔다.

강 대사는 한미 간 풀어야 할 시급한 과제로 아직 최종 체결되지 않고 있는 관세·무역 협상과 그 일부인 한국의 대미(對美) 투자 패키지 문제, 조지아주 한인 구금사태로 촉발된 한국 기업인 및 노동자 비자 문제 등을 꼽았다.

그는 "(대미) 투자 패키지가 서로 간 좋은 결과로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현장에서 면밀 대응하고, (외교부) 본부는 물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통상교섭본부장이 직접 딜을 하는 상황이지만 현장의 공관장으로서 최대한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한국이 미국에 요청한 통화스와프에 대해 "우리가 일단 던져놓은 상황이고, 미국 측의 반응이 접수됐다는 얘기는 못 듣고 왔다"며 "그래서 그 부분은 좀 기다려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우리 기업인들의 (미국) 출입국에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한) 워킹그룹의 1차 회의가 잘 끝난 것으로 안다"며 "앞으로 2차 회의, 추가 협상을 하는 데 있어 지속 가능한, 그리고 우리 기업인이 신뢰할 만한 비자 운영이 자리를 잡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밝혔다.

강 대사는 미국 입국 전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만난 것에 대해선 "아무래도 25%의 관세(미국이 한국을 포함한 외국산 자동차에 책정한 관세)를 감당하는 현대로서는 지금의 상황이 매우 어렵다. 그래서 대사로서 직접 듣고 오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서 면담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기업 전체를 보면서 협상을 해나가자는 입장인데, 현대로서는 지금 직격탄을 맞는 자동차 수출 문제에서 고충을 호소하는 얘기를 했다"며 "어쨌든 기업이 정부와 한 팀이 돼 좋은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현대의 목소리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1기 때 외교장관을 지냈던 강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인연에 대해선 "장관은 장관(미국 국무장관)을 상대로 하지 대통령을 상대로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정상회담 때 배석하면서 인사도 하고 말씀도 드릴 수 있었던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스타일이나 관심사 등은 그때 어느 정도 파악을 했고,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워싱턴)에 특별수행원으로 참석하면서 다시 한번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의 방향라든가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있어 어떤 것을 특별히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볼 수 있었던 게 대사를 시작하면서 많은 참고가 됐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이 무엇인지를 묻자 "한미 간 72년이라는 오랜 동맹의 역사가 있어서 당장의 현안들로 동맹이 흔들릴 역사가 아니라는 점을 트럼프 대통령도 충분히 알고 있겠지만, 현장의 대사로서 그런 점을 강조하려 한다"고 답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달 말 방한 일정이 '당일치기'라는 얘기가 나오는 것과 관련, "계속 협의 중인 걸로 안다. 양쪽이 만족할 만한 방한 일정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고, 현지에서도 적극 지원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 대사는 최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전제조건 없는 대화에 열려 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선 "우리 대통령께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를 하는 것을 적극 지지한다는 발언을 하셨고, 현장에서도 대통령의 의지를 받들어 각계에 그런 메시지를 계속 발신하고, 그런 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결국은 북한이 나서야 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미국 당국자와 긴밀히 협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 대사는 주미대사관의 대미 외교역량과 관련해서는 "전반적으로 인력이 양적인 면에서 작다"며 "질적으로는 훌륭한 인재들이어서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노력도 하겠지만, 양적으로도 많이 키워야 한다. 특히 공공외교 부분에서 특별히 노력해야 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이재명 대통령이 특별히 당부한 점이 있었느냐는 물음에 "직접 임명장을 받지는 않았다. (대신 이 대통령이) 직접 서명하신 임명장을 들고 왔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