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희토류 팔지 않는 전략’ 中, 대두 안 사는 카드로 美압박

2025-10-04 (토) 09:08:07
크게 작게

▶ 글로벌사우스와 연대 강화도 ‘주목’…美의 ‘대만독립 반대’ 천명 바라는듯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중국과 협상의 주요 의제로 대두를 지목하면서 앞서 꺼내 들었던 희토류에 이어 중국의 '카드'가 제대로 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대두 수입 대안처를 확보하며 글로벌사우스(Global South·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을 통칭) 국가들과의 연대를 강화해온 중국의 외교 전략 또한 주목받는다.

올해 미중 무역 긴장 속에 '팔지 않는 전략'으로 희토류 카드를 꺼냈던 중국이 이번에는 '사지 않는 전략'으로 대두 카드를 내밀었다고 싱가포르의 중국어 매체 연합조보는 4일 전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의 압박에 대해 다각적 대비를 해왔으며 '희토류의 독점적 공급망'이라는 위치와 '중남미 국가들로부터의 대두 수입 대체'라는 합종연횡책을 정확히 구사해 미국의 급소를 찌를 수 있었다고 연합조보는 지적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4월 희토류 17종 가운데 7종의 대미 수출통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용 H20 칩 수출 허가를 받아냈다.

1992년 중국 지도자 덩샤오핑이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고 한 언급처럼 희토류는 중국 입장에서 주요한 무기가 됐다.

이번에는 14억 인구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인 대두가 무기로 부상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은 대두 자급을 이룬 것이 아닌 대안 수입원 확보를 통해 미국을 압박하고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중 무역전쟁을 겪으며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줄여봤던 중국은 그때의 교훈을 잊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또 중국이 글로벌사우스에서 우군 확보에 나서며 수출 시장을 넓히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수입국 다변화까지 꾀한 것은 상당한 준비를 통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재집권한 트럼프 정부야말로 총체적 고려가 부족한 상황에서 관세전쟁에 불을 붙이고 극한의 압박을 통해 중국 방어선을 뚫을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중국의 버티는 능력을 과소평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합조보는 지적했다.

연합조보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전쟁이 결국 자국 농민의 발등을 찍었으며 내년 의회 중간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대두 분쟁이 미국 내 정치 문제가 될 것임을 중국이 정확히 간파했다고 덧붙였다.

미국 대두 농가는 가을 수확 철이 시작했음에도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을 전면 중단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은 미국산 대신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남미 국가로부터 대두 수입을 크게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동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4주 후 시진핑 주석과 만날 것이며, 대두는 대화의 주요 의제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대두와 다른 작물을 다시 위대하게"라고 적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단순히 무역협상을 잘하는 수준이 아닌 미국이 '대만 문제'에 관해 확실하게 못 박게 하는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기존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만 독립에 반대'라는 입장을 미국이 천명해주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양국 정상이 만날 예정인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의 대두 농가를 달래기 위해 상징적인 양보안을 제시할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