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韓정부, 미국에 ‘원-달러 무제한 통화 스와프’ 카드 꺼내

2025-09-14 (일) 10:32:21
크게 작게

▶ 3천500억달러 대미 투자 시 외환시장 안전장치 기능

韓정부, 미국에 ‘원-달러 무제한 통화 스와프’ 카드 꺼내

미국에서 한미 관세협상 관련 후속 협의를 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한국시간) 오전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2025.9.14. [연합뉴스]

정부가 최근 미국과의 통상·무역협상 과정에서 '무제한 한미 통화 스와프' 카드를 꺼냈다. 외환시장 혼란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14일(한국시간) 대통령실과 정부 등에 따르면 최근 한국 정부는 미국에 무제한 통화스와프 체결을 제안했다.

통화스와프는 자국의 화폐를 상대국에 맡긴 뒤 미리 정한 환율로 상대국의 통화를 빌려오는 일종의 '국가간 마이너스 통장'이다.


양국은 지난 7월 미국이 한국에 부과키로 한 25%의 상호 관세를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총 3천500억달러(약 488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하기로 합의했다.

세부 협상 과정에서 미국은 현금 직접 투자 비중을 높이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를 경우 거액의 달러화가 국내에서 빠져나가며 원/달러 환율이 급등할 우려가 있다. 지난달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천163억달러 수준이기 때문이다.

만약 무제한 통화스와프가 체결된다면, 환율 급변 등 시장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환율 변동 리스크 등에 대응하기 위해 통화 스와프도 추진하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지금은 한미 양측이 서로 조건을 변경해가며 협상 중이어서 구체적으로 양측 입장이 어떤지 뚜렷하게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기획재정부도 "현재 대미 투자 협상 과정에서 외환시장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협의 중에 있음을 말씀드린다"며 "다만 한미 간 협의 중인 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냈다.

다만 대통령실의 다른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김용범 정책실장도 그동안 협상과 관련해 다양한 옵션이 거론되고 있음을 내비친 바 있다"며 통화 스와프 카드 역시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김 실장은 지난 9일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일본은 기축통화국이고 외환보유고도 우리나라의 세 배에 달한다. 또 미국과 무제한 통화 스와프가 체결돼 있다"며 협상 여건을 개선하려면 이 같은 문제들이 해결돼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일각에서는 통화스와프 체결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점에서 미국의 직접 투자 압박에 대응한 협상 카드에 그칠 것이란 견해도 나온다.

한미 양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등 위기 상황에 한해 총 2번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적이 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